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에 대한 관세 조치를 발표하면서 자국에 유리해 보이는 수치들을 근거로 들었다. 특히 한국에 대해서는 “한국은 (수입 쌀에 대해) 50%에서 513%까지 관세율을 부과한다”고 주장했다. 또 자동차 시장에선 “한국이 세운 무역 장벽 때문에 한국에선 81%가 한국산”이란 취지의 주장을 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현실에 맞는지 확인해봤다.
한국이 쌀 수입에 50~513% 관세 부과?
우선 한국은 미국산 쌀을 수입할 때 5%의 관세를 매긴다. 매년 의무적으로 미국으로부터 사들이는 13만2304t의 저율관세할당물량(TRQ)에 대해서다. TRQ를 넘는 수입량에 대해선 513%의 관세를 부과하지만, 이렇게 높은 세율을 부담하면서까지 한국에 수입되는 미국산 쌀은 미미한 수준이다. 심지어 2022년에는 미국의 쌀 생산이 줄어 대 한국 수출량이 TRQ에 미치지 못하기도 했다.

한국이 쌀 수입에 대해 최고 513%의 관세를 매기는 것은 오히려 한국이 쌀 시장을 개방한 데 따른 조치다. 한국은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하면서 수입 농산물에 관세를 매기며 시장을 개방(관세화)했지만, 쌀만큼은 보호를 위해 관세화를 미뤄 왔다. 그러다 2014년에 쌀도 관세화하기로 결정했고, 국내 가격과 수입 가격 차이를 고려해 513%의 관세율을 정했다. 이후 한국의 쌀 관세율에 이의를 제기한 미국(13만2304t)·중국(15만7195t)·베트남(5만5112t)·태국(2만8494t)·호주(1만5595t) 등에 총 40만8700t의 TRQ를 할당해주고, 매년 의무적으로 수입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쌀 관세 50%는 근거를 찾을 수 없는 숫자다. 5%의 관세율을 트럼프 대통령 특유의 화법으로 50%로 부풀렸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정부 한 관계자는 “5%를 착각해 잘못 이야기한 것일 수도 있다”며 “추후 설명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무역 장벽으로 한국 내수車 81%가 한국산?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또 “한국, 일본과 다른 많은 국가가 거대한 무역 장벽의 결과로 부과하는 비금전적 제한이 최악”이라며 “한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81%는 한국에서 생산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내수 차량 162만6245대 가운데 134만4432대(82.7%)가 국산차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숫자가 거의 맞다. 백악관은 상호관세 ‘팩트시트(Fact sheet)’에서 한국이 미국에서 인정하는 자동차 기준을 인정하지 않는 등 무역 장벽을 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미국 자동차가 외면받는 것은 ‘가성비’나 매력도 측면에서 뒤처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전문가의 평가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한국 소비자가 미국차를 접할 문턱이 더 낮은데도 선택하지 않는 이유는 결국 차의 디자인·연비 등 완성도와 유지비 등을 고려한 가성비 문제가 크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분야에선 오히려 미국이 무역 장벽을 세우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한국이 미국산 자동차에 0% 관세를 매기는 것과 달리 미국은 한국산 픽업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