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개 병원 선정해 교육·시설 지원 시작
지도 전문의 제도 강화로 체계적 수련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을 위한 혁신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총 60개 수련병원이 1차로 선정돼 지도 전문의 지정과 교육 운영비 지원, 수련시설 개선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전공의 전문역량을 높이고, 의료 질을 제고하겠다는 청사진이다.
복지부는 '2025년 전공의 수련환경 혁신지원 사업'에 총 60개 병원을 선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공의 지위를 교육생으로서 확립하고, 인턴을 비롯한 ▲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응급의학과 ▲심장혈관흉부외과 ▲신경과 ▲신경외과 등 8개 전문과목에 우선 지원해 수련체계를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선정된 병원들은 전공의가 전문의로 성장하기 위한 지식·태도·역량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수련 프로그램을 개편하고, 수련 여건 개선에 집중하게 된다. 지도 전문의는 책임지도 전문의와 교육 전담지도 전문의로 역할을 구분해 총괄 관리와 교육·면담을 전담한다.
특히 인턴 수련의 경우 기존에는 병원별 자율 운영이 많았으나, 앞으로는 지정 지도 전문의가 집중적으로 교육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의과대학에서 배운 지식을 환자 진료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체계적으로 기를 수 있도록 돕는다.
복지부는 참여 병원에 지도 전문의 수당과 전공의 교육 운영비 등을 지원하는 한편, 수련시설 개선 예산도 편성했다. 수도권은 전공의 규모에 따라 최소 3000만원에서 최대 3억원을 지원한다. 비수도권은 5인 이하 병원일 시 3000만원, 150인 초과 병원일 시 3억원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 맞춰 추가 수요를 반영하기 위해 10월까지 추가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복지부 누리집 공고를 통해 접수가 가능하다.
김국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이번 혁신지원 사업은 전공의가 미래 의료체계를 이끌어나갈 역량 있는 의료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며 "수련 현장의 실질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고, 현장 의견도 충분히 수렴하여 발전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