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에도 15개국 여론조사서…"中보단 美이 최대동맹"

2025-07-09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주요국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도 세계 24개국 중 15개국 국민은 여전히 중국보다 미국을 최대 동맹국으로 여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8일(현지시간) 미 조사 기관인 퓨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세계 24개국 성인 3만2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1월 8일~4월 26일)에서 15개국의 응답자가 미국을 최대 동맹국이라고 답했다. 이들에겐 선택할 국가 목록은 주어지지 않았고, 생각나는 동맹국과 위협국을 말해달라는 요청에 따른 응답 결과였다.

미국을 최대 동맹국으로 꼽은 국가 중 이스라엘(95%)·한국(89%)·일본(78%)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퓨리서치센터는 보고서에서 "한국인과 일본인은 미국이 최대 동맹국이라는 데 압도적으로 동의했으며, 미국 말고 다른 나라를 거론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한·일 등 미국의 전통적인 동맹국을 상대로 관세를 인상하는 가운데 이뤄졌다. 지난 1월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캐나다와 그린란드를 인수하겠다"고 선언해 해당국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이런 상황에도 24개국 중 15개국 응답자가 미국을 최대 동맹국으로 선택했다"고 짚었다.

반면 중국은 인도네시아·남아프리카공화국·나이지리아 등 3개국에서만 최대 동맹국으로 꼽혔다.

"관세에도 한·일, 중국과 밀착 가능성 작아"

외교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관세 때문에 한·일 양국과 중국이 밀착할 가능성은 작다고 봤다. 다만 중국이 트럼프발 관세를 빌미로 한·일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더 강력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는 있다고 전망했다.

장윈 난징대 국제관계학과 교수는 SCMP에 "현재 한국과 일본 지도자들이 실용적이고 이념에 치우치지 않는 스타일로 중국과 안정적 관계를 지향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중국은 한·일 양국과의 경제협력을 촉진할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의 상호관세 갈등으로) 한·중·일 3국 관계가 이전보다 가까워질 수 있지만, 한·일 양국은 미국과의 동맹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일본 국제기독대학의 스티븐 나기 교수도 "관세를 부과해도 한·미·일 3국이 협력한다는 공동의 우선순위는 바꿀 수 없다"며 "다만 트럼프의 이번 고율 관세 부과 갈등을 계기로 중국이 한·일 양국에 더 많은 협력 유인책을 제공할 것"으로 내다봤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