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초등학생 20명 중 1명꼴로 피해를 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2013년 조사 시작 이래 가장 높아지면서 정부 대책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교육부가 16일 발표한 ‘2025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학교폭력 피해 경험 응답률은 전체 학생의 2.5%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0.4%포인트 오른 수치로 역대 최고치다.
특히 초등학교 피해 응답률은 5.0%로 2013년(3.8%)을 웃돌며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학생은 2.1%, 고등학생은 0.7%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0.9%까지 낮아졌던 피해 응답률은 5년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폭력 유형별(중복응답)로는 언어폭력이 39%로 가장 많았고, 집단 따돌림(16.4%)과 신체폭력(14.6%)이 뒤를 이었다. 사이버폭력(7.4%)과 성폭력(5.9%), 강요(5.8%)는 한자릿수였으나, 집단 따돌림과 사이버폭력 비중은 지난해보다 늘었다.
목격 응답률도 증가했다. 전체 학생의 6.1%가 학교폭력을 목격했다고 답했으며, 초등학교(10.2%)·중학교(6.1%)·고등학교(2.2%) 모두에서 전년보다 상승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부모와 학생들의 경각심이 높아지면서 이전보다 폭넓게 응답한 결과”라며 “특히 초등의 경우 실제 접수 건수와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상담·조정 전문가로 구성된 ‘관계개선 지원단’을 확대하고, 초등 저학년을 대상으로는 학교폭력 전담기구 심의 전 조정·상담을 거치는 ‘관계회복 숙려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