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농업과 치유농장에서 무한게임 마케팅 전략

2025-10-04

[전남인터넷신문]사이먼 시넥(Simon Sinek, 1973~ )은 영국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활동하는 저자이자 리더쉽 사상가로 현대 경영철학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는 2009년 TED 강연 〈Start with Why〉(왜로 시작하라)에서 ‘골든 서클(Golden Circle)’ 이론을 소개하며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그의 주장은 단순하다. 성공하는 조직과 리더는 ‘무엇(What)’이 아니라 ‘왜(Why)’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이후 《Leaders Eat Last》, 《Together is Better》, 그리고 《The Infinite Game》을 발표하면서 리더십과 조직 운영을 장기적 관점에서 조망했다. 특히 《The Infinite Game》에서 그는 세상의 게임을 두 가지로 나눈다.

첫째는 유한 게임(Finite Game)이다. 시작과 끝이 명확하고 규칙이 고정되어 있으며, 승자와 패자가 결정된다. 축구 경기나 시험, 선거가 대표적이다. 둘째는 무한 게임(Infinite Game)이다. 끝이 없고 규칙이 변하며, 목표는 승리 그 자체가 아니라 게임을 계속 이어가는 데 있다. 교육, 사랑, 경영 같은 영역이 무한 게임의 성격을 띤다. 기업 경영은 물론이고 농장 운영도 마찬가지다. 단기적 경쟁에서 이기려는 것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과 신뢰를 확보해 장기간 생존하는 것이 핵심이다.

치유농업과 치유농장은 무한 게임의 대표적인 사례다. 단기적 수익만을 쫓으면 치유농업의 매력은 금세 사라진다. 방문객은 단순한 체험 상품보다 지속되는 가치를 원한다. 따라서 치유농장은 “이번 달에 얼마나 더 많은 체험객을 모을까?”라는 유한 게임적 사고가 아니라, “10년 후에도 이 농장을 찾는 사람들이 있을까?”, “이 농장이 지역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라는 무한 게임적 사고를 가져야 한다.

무한 게임 마케팅의 첫걸음은 목적(Why)에서 출발하는 브랜딩이다. 치유농장은 단순히 농업 체험을 파는 공간이 아니다. “지역의 어르신이 함께 웃는 공간”, “아이들이 자연에서 회복을 경험하는 배움터”, “농촌과 도시가 이어지는 치유의 장”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설정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단순한 홍보 문구가 아니라 운영 전반에 스며들어야 한다.

무한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자본은 신뢰다. 한 번의 방문으로 끝나는 체험이 아니라, 계절이 바뀌어도 다시 찾고 싶은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농장이 주는 정직한 감동은 시간이 지날수록 고객 충성도를 쌓아 올린다. 이 신뢰 자본은 단기 매출보다 훨씬 강력한 성장 동력이 된다.

무한 게임은 규칙이 고정되지 않는다. 치유농업 프로그램도 사회적 변화와 고객의 요구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해야 한다. 최근 심리치유, 음악·미술치유, 세대 교류형 프로그램, HRV(심박변이도) 측정과 같은 디지털 기반 체험은 시대적 흐름을 반영한다. 치유농장은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되, 본질적인 가치인 ‘농업을 통한 치유’를 놓치지 않아야 한다.

무한 게임은 혼자서는 이어갈 수 없다. 치유농장이 장기적으로 지속되려면 지역사회와의 연대가 필수적이다. 인근 농가, 마을 공동체, 지자체, 복지기관과 협력해 치유농장은 단순한 체험장이 아니라 지역 문화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지역 축제, 로컬푸드, 전통문화와 결합하면 농장은 하나의 문화적 거점으로 성장한다.

무한 게임의 궁극적 목표는 다음 세대까지 이어지는 것이다. 지금의 운영자 세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후대가 이어받아도 농장이 가치를 잃지 않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기록과 콘텐츠를 남기고, 젊은 세대가 치유농업의 가치를 배울 수 있도록 교육적 역할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치유농업의 성공은 단기적 경쟁에서의 승리로 결정되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농장이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가치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와 신뢰를 이어가며, 세대를 넘어 지속되는 것이다. 사이먼 시넥이 말한 무한 게임의 핵심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계속 이어가는 것”이다. 치유농장은 바로 이 무한 게임의 마케팅 전략을 실천할 때, 단순한 산업을 넘어 인간과 공동체에 깊은 울림을 주는 문화적 실천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

참고문헌

허북구. 2025. 치유농업과 치유농장 마케팅, SMART와 SMARTER 전략. .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칼럼(2025.9.28.).

허북구. 2025. 치유농업 및 치유농장에서 STP 분석과 마케팅 전략. 전남인터넷신문 치유농업과 음식칼럼(2025.8.24.).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