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코스피 5000 시대’ 빠진 이유는?

2025-08-22

정부가 발표한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에 국정과제인 ‘코스피 5000 시대’가 거론되지 않은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정부는 “이번 발표 취지와 맞지 않아 담지 못했을 뿐 목표를 수정한 게 아니”라는 입장이다. 다만 일각에선 정부가 구체적 수치를 거듭 목표로 제시하는 것에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22일 발표한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에서 주식시장 관련 내용을 ‘생산적 금융’이라는 항목에 담았다. 여기에는 ‘부동산에서 생산적 부문으로 자금 흐름을 대전환하고, 코리아 프리미엄을 실현한다’는 목표가 적혀 있다.

기업 지배구조 개선,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DM) 지수 편입, 주가조작 등 불공정 거래 엄벌 등이 목표 실현을 위한 과제로 제시돼 있다. 정부가 국정과제로 내세운 ‘코스피 5000’과 같은 수치는 따로 언급되지 않았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사전 브리핑에서 “이번 발표는 성장률에 포커스가 맞춰져 있어 그 외에 많은 정부 목표를 다 담을 수는 없었다”며 “정부는 코스피 5000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목표 달성에 부담을 느낀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정부가 코스피 5000이라는 목표를 밝히면 국민은 그 수치를 기준으로 평가하게 되고, 그러다 보면 수치를 달성하려다 무리수를 둘 수도 있다는 판단이 깔렸을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이번 발표는 정부가 그간 코스피 5000을 거듭 강조해온 흐름과 결이 다르다. 앞서 국정기획위원회는 12대 중점 전략과제에 ‘코스피 5000 시대’를 선정했다. 정부에서 구체적 주가지수를 국정과제로 삼은 것은 역대 처음이었다. 더불어민주당도 ‘코스피 5000 특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보조를 맞췄다.

코스피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인 지난 6월20일 약 3년 5개월 만에 3000선을 돌파하는 등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이달 들어 3100선에서 횡보하고 있다.

정부가 이 같은 주가 흐름, 기업실적 개선 등 펀더멘털(기초 경제여건)에 기반하지 않은 주가 상승의 한계 등을 고려해 ‘로키(low-key) 전략’으로 가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부 교수는 “애초에 정부가 코스피 5000 달성이 현실적으로 가능한지 따지지 않고 덜컥 제시한 감이 있다”며 “특히 최근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을 강화하는 세제 개편안 등의 영향으로 주식시장이 박스권에 있는 상황에서 그 목표를 다시 꺼내 들기는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했다.

다만 주식시장 부양을 통한 코스피 5000 기조 자체가 바뀐 것으로 보긴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이 교수는 “정부가 이미 주식시장 부양에 대한 의지를 밝혔던 만큼 그 기조가 바뀐 것 같진 않다”며 “현재 논란이 되는 대주주 기준 강화나 관세 등의 현안이 정리되고 나면 더 구체적 내용이 나올 수 있다”고 했다. 당정이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상법 2차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코스피 5000을 달성하기 위한 움직임 중 하나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