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의료는 물론이고, 산업 분야에서도 책임감을 갖고 인공지능(AI) 생태계 조성에 힘을 보태겠습니다.”
정창욱 서울대병원 정보화실장은 의료뿐 아니라 AI를 필두로 한 신산업·기술 생태계 조성에 책임감을 갖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진료, 연구 등 국내 최고로 꼽히는 서울대병원이 급성장하는 의료AI 산업에서도 중심축 역할을 하겠다는 것이다.
정 실장은 “많은 병원이 AI를 연구 중이지만, 특히나 서울대병원은 의료AI 영역에서 진심”이라며 “현재 그동안 축적한 연구개발 결실을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시키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은 올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깜짝 놀랄 AI 결과물을 내놨다. 지난 3월 국내 병원 최초로 한국형 의료 거대언어모델(LLM)을 개발한데 이어 최근 이를 활용한 AI 에이전트 플랫폼 'SNUH.AI(스누하이)'를 오픈했다.
이 플랫폼은 의료진의 반복적이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업무를 AI가 자동으로 처리한다. 실시간 의무기록 자동생성, 병리 판독 검증, 항암제 처방 지원 등이 대표적이다. 모두 병원 내 AI를 전담으로 연구하는 헬스케어AI연구원과 정 실장이 속한 정보화실의 협업 결실이다.
정 실장은 “현재 병원에서 AI는 환자 진료뿐 아니라 행정, 경영 등 전 영역을 파고들며 일상화됐다”면서 “서울대병원처럼 사회적 책임이 큰 의료기관 일수록 AI 적용에 더 민첩하게 움직여 혁신 사례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병원 병원은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을 주도했고, 디지털병리나 의료기관 프라이빗 클라우드 시스템도 초기 도입하며 벤치마킹 모델을 제시했다”며 “의료 LLM 역시 다른 국공립병원의 모델이 될 수 있기에 완성도를 높이는 데 주력했다”고 덧붙였다.
서울대병원은 단순히 의료AI 적용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넘어 개발 과정에서 다양한 기업, 기관 등과 협업해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도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 의료 데이터와 연구실적, 우수한 인력을 보유한 만큼 협업 수요도 높다.
정 실장은 “특허, 임상 등 다양한 정보를 가명화해 기업이나 기관들에 연구 목적으로 제공하고 있다”며 “의료 분야를 포함해 경영이나 행정 등 다른 영역의 AI 도입을 위해 다양한 기업과 협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같은 AI혁신 성과는 궁극적으로 환자에게 다시 돌아갈 것이라고 정 실장은 확신했다. 비뇨기과 교수로서 전립선 분야 권위자인 그는 현재 병원 구조에서 AI가 환자에게 최선의 이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봤다.
정 실장은 “현재 열악한 보험재정으로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 환자에게 고품질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서 “결국 AI 도움을 받아 환자 불편을 줄이는 동시에 직원들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것이야 말로 병원의 혁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





![“로봇 전담 컨트롤타워 세우고 AI 특별연장근로 허용해야”[AI 프리즘*신입 직장인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2/2H0JWAF7YR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