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롱텀에볼루션(LTE) 데이터 트래픽이 사상 처음으로 10만 테라바이트(TB) 아래로 떨어졌다. 5세대(5G) 이동통신으로 가입자들이 전환하면서전체 트래픽에서 LTE가 차지하는 비중도 7%대에 그쳤다. 사용량이 줄어든 LTE 주파수의 경제적 가치 감소분을 재할당 대가에 반영해야 한다는 요구도 거세질 전망이다.
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데이터 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기준 국내 LTE 트래픽은 총 9만6146TB로 집계됐다. LTE 사용량이 10만TB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23년 2월 20만TB선이 무너진 이후 2년4개월여만이다.
반면 같은 기간 5G 트래픽은 113만TB를 기록했다. 5G 전환세가 뚜렷해지면서 전체 모바일 트래픽의 90% 이상이 5G를 통해 발생하고 있다. 2021년 골든크로스를 달성한 이후 이통 3사의 5G 보급률은 80%까지 치솟았다.
가입자 점유율 격차를 고려해도 트래픽 격차가 훨씬 크다. 현재 LTE 휴대폰 가입자는 약 1900만명으로 전체의 34%를 점유한데 반해 전체 이동통신 트래픽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7%에 불과하다. LTE 주파수는 음성통화(VoLTE)와 저가요금제, IoT 중심으로 활용되고 모바일 데이터 수요는 5G로 집중되는 추세다.
현재 과기정통부 주파수 연구반 중심으로 내년 종료되는 LTE 주파수 350㎒폭의 재할당 대가 산정 논의가 시작된 가운데 트래픽 감소에 따른 가치 변동분을 산정식에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트래픽이 줄면 같은 품질을 더 적은 주파수로도 제공 가능하다. 이는 주파수 가치 하락과 직결된다. 상대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폭만 가지고 남은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어서다.
지금은 KT를 제외한 대부분 5G 네트워크가 LTE망을 함께 사용하는 비단독규격(NSA) 방식이지만 정부 차원에서 5G 단독규격(SA) 전환을 추진하는 만큼 LTE의 활용성은 더욱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업계에서도 LTE 트래픽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5년간 해당 대역 전부를 장기 점유하는 것은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할당 기간을 5년이 아닌 2~3년 주기로 단축하면 미래 유연한 자원 활용이 가능하다는 의견이다. 예컨대 LTE 20㎒ 대역폭 중 10㎒만 남겨둬도 남은 가입자 트래픽 처리에 충분하다면 나머지 절반은 5G로 리파밍(refarming)할 여력이 생기는 것이다.
KISDI·KCA 등 유관기관 및 경제학과 교수 등으로 구성된 주파수 연구반은 오는 28일 이통 3사 실무진을 불러 LTE 주파수 재할당 세부 기준 마련을 위한 의견수렴을 진행할 예정이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