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근아, 지게차 면허증 있으면 월 900만원을 번다더라. 포클레인 면허증도 꽤 큰돈이 된대. 나 그런 거 하려고.
1965년생인 내 동기들은 올해 60세가 되면서 다들 회사에서 정년퇴직했다. 일찌감치 회사를 떠나 11년째 사회에서 칼바람을 맞아본 내겐 이제 막 퇴직한 친구들의 근자감(‘근거 없는 자신감’이라는 의미의 신조어) 넘치는 “지게차” 타령이 당황스러울 뿐이다.
마음 깊은 곳에선 ‘정말 세상 물정을 모르는구나’라는 생각, 그리고 ‘앞으로 잘 헤쳐나가면 좋겠다’는 안쓰러움이 교차합니다. 퇴직자로 살아가는 게 사실 만만치 않거든요.

나는 1992년 소위 ‘신의 직장’이라 불리는 한국전기통신공사(KT의 전신)에 입사해 2014년 명예퇴직했다. 같은 직장에 다니던 아내에게도 “내가 먹여 살리겠다”며 동반 퇴직을 권해 함께 나왔다.
회사에서 퇴직을 권했던 상황은 결코 아니다. 당시 난 KT의 영업직 사원 8000명 중 단 40명뿐인 마이스터였다. 마이스터는 KT 내 장기 근속자 중 고과 상위자, 관련 자격증 보유자, 전문교육 이수자, 상사 추천 등 까다로운 여러 요건을 충족한 이들만을 선발해 우대해 주는 제도다. 특히 난 마이스터 중 유일하게 팀장 보직을 겸하고 있었다.
동료들은 기술영업 마이스터이자 팀장 보직을 받은 유일한 직원인 내게 “실력과 리더십을 모두 인정받은 인재”라고 추어올렸지만, 내 속은 늘상 곪고 있었다.
일단 당시 상사와의 갈등이 컸다. 나는 나를 신뢰하고 업무를 맡겨주는 상사와 호흡이 잘 맞는 편이다. 그런데 새로 오신 상사는 아주 세밀하게 “이건 이렇게, 저건 저렇게”라고 코칭하는 스타일이었다. 그분이 제시한 솔루션에 내가 수긍 못하는 경우도 왕왕 생겼다. 이런 갈등이 반복되다보니 나는 그 상사로부터 “일을 못한다”는 혹평을 받게 됐다.
후배들과 일을 할 때도 마냥 마음 편했던 건 아니다. 대개 관리자들은 부서 성과를 위해 팀원들을 뛰게 하는데, 나는 그러질 못했다. 남에게 싫은 소리를 절대 못하는 성향이라 내가 직접 뛰어서 목표를 채웠다. 팀원에게 꼭 전달해야 할 말이 있으면 그냥 직설적으로 말하면 될 것을, 몇날 며칠을 고민하다 돌려돌려 말하고는 끙끙 앓는 스타일이었다.
그렇게 회사를 나온 내게 과연 꽃길이 펼쳐졌을까? 정반대였다. 나를 스카우트한 회사가 사기를 당해 공중분해되면서 나는 아르바이트를 동시에 10개씩 하느라 녹초가 됐다. 지금의 직장에 오기까지 무려 7번의 이직을 경험했다.
지옥 같았던 시간을 버텨낸 지금의 나는 어떤 모습일까. 대기업에서 펜대 굴리는 관리자였던 나는 어느덧 전신주를 능숙하게 타는 현장 기술자로 변신했다. 이제 어디서든 회사명 대신 ‘오창근’이란 내 이름 석 자로 일을 지속하고 벌이를 창출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생겼다. 몸으로 먹고사는 기술직으로 변신에 성공했으니, 건강만 허락한다면 내겐 더 이상 은퇴는 없다는 것도 나의 큰 자부심이다.

간혹 지인들이 내게 “만약 마흔아홉, KT 재직 때로 돌아간다면 또다시 명예퇴직을 선택할 거냐”고 묻는다. 나는 두 번 생각지 않고 “예스”라고 답한다. 내 기술만으로 ‘자리 잡았다’는 든든함, 직장이 아니라 업(業)으로 살아간다는 안정감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다. ‘신의 직장’에서 지옥으로 추락했다 기름밥 먹는 안식처를 찾기까지 지난했던 11년 여정을 공개한다.(계속)
아래 기사 링크를 복사해 주소창에 붙여넣으세요.
안정된 직장 박차고 나와 사회의 칼바람 이겨냈다
〈은퇴Who〉 스토리 더 보시려면?
재취업 찬밥? 연 8000 번다…은퇴 공무원의 ‘지식 자영업’
‘모범 공무원’으로 수차례 표창 받으며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아온 김경수씨에게 어느날 마음에 쏙 드는 이직 제안이 들어왔다. 당시 나이 57세, 정년이 얼마 남지 않을 때였다. ‘이런 기회가 또 오겠나’ 싶어 흔쾌히 이직을 결심했다. 곧이어 코로나19가 창궐했다. 김경수씨에게 이직 제안을 했던 곳에선 “죄송하게 됐다”며 말을 거뒀다. 그들을 탓할 상황도 아니었다. 김씨는 자신의 상황을 ‘망망대해에 표류한 돛단배 한척’이라 표현했다. 유튜버‧강연자로 변신해 연봉 8000만원을 버는 그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공기업, 알고 지원했니? [로터리]](https://newsimg.sedaily.com/2025/10/30/2GZDMIO31S_1.jpg)
![“회사 선택, 월급보단 휼륭한 인재들 일하는지 따져야” [AI 프리즘*신입 직장인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6A0IMO_1.jpg)


![[장욱희의 중장년 취업에세이] 중장년 창업 실패 60%, "재취업 준비가 현실적 대안"](https://img.newspim.com/news/2024/11/07/24110709343798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