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s.khan.co.kr/article/2025/02/13/news-p.v1.20250213.ce5213d9eaaa4f50b4f9bdc13fc9c929_P1.webp)
영국 주재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가 2034년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이 열리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술을 절대 마실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칼리드 빈 반다르 알 사우드 주영 사우디아라비아 대사는 12일(현지시간) 영국 LBC 라디오 방송과 인터뷰에서 “사우디아라비아는 현재 술을 허용하지 않는다. 술 없이도 즐거운 일은 많다”며 “월드컵을 개최하더라도 예외는 없다. 호텔뿐만 아니라 식당과 경기장에서도 술은 허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FIFA는 지난해 12월11일 211개 회원국이 화상회의로 참가한 임시 총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를 2034년 월드컵 개최국으로 확정했다.
![](https://images.khan.co.kr/article/2025/02/13/news-p.v1.20250213.75cbcf7445b34a0fad49b39510e1e09a_P1.webp)
여성 인권, 언론 탄압 문제로 국제사회의 비판을 받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축구를 ‘스포츠 워싱’에 활용한다는 비판이 지속해서 제기됐지만, FIFA는 결국 사우디아라비아의 손을 들어줬다.
사우디아라비아가 2034년 월드컵 개최국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음주 허용’ 문제도 팬들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앞서 2022년 카타르에서 열린 월드컵 당시에도 주류 판매 여부가 팬들의 이목을 끌었고, 카타르는 경기장 내 음주를 금지했지만, 지정된 팬 존과 허가받은 호텔과 클럽에선 음주를 허용했다.
하지만 사우디아라비아는 아예 술을 허용하지 않을 방침이다. 칼리드 빈 반다르 알 사우드 주영 사우디아라비아 대사는 “우리 날씨처럼 사우디는 ‘건조한’ 나라”라며 “모든 문화는 서로 다르다. 우리 문화의 범주 내에서 사람들을 환영하겠지만, 다른 누군가를 위해 우리 문화를 바꿀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동성연애가 불법이고, 트랜스젠더도 인정되지 않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상황에서 성소수자 축구 팬들이 안전하게 방문할 수 있겠냐는 물음에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오는 모든 사람을 환영할 것”이라며 “월드컵은 전 세계의 행사다. 우리는 오고 싶어 하는 모든 사람을 환영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ages.khan.co.kr/article/2025/02/13/news-p.v1.20250213.42af5c3f20d54416b8ac02bb52f417a8_P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