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석 국무총리가 17일 오세훈 시장의 서울시가 광화문광장에 조성하려는 ‘감사의 정원’ 공사 현장을 찾고, 행정안전부에 사업의 법적·절차적·내용적 문제에 대해 확인 후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감사의 정원’은 서울시가 6·25 전쟁 참전국을 기린다면서 추진하는 사업이다. 참전국들의 협조도 미미한데다, 세종대왕상 옆에 총기 모양의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이 광화문광장의 상징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 총리는 이날 광화문광장 일대와 이순신 장군·세종대왕 동상 등을 둘러본 뒤 “광화문은 대한민국의 얼굴이며 대표적 국가 상징 공간이자 문화국가의 미래 상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을 모신 광화문에 굳이 ‘받들어 총’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을 국민들이 이해할지 의문”이라며 “실제 여기에 ‘받들어 총’ 조형물이 들어왔을 때 (국민들이) 어떻게 생각하실 지도, 지금은 대부분 (조형물 설치를) 모르셔서 걱정이 된다‘고 우려했다.
조형물이 참전국으로부터 기부 받은 석재로 만들 계획임에도 미국을 비롯한 상당수 참전국이 이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점도 짚었다.
김 총리는 ”미국까지 포함해서 (석재를) 아직 보낸다는 것도 확약이 안 돼 있는 상태라고 들었다“며 ”그리고 그 취지는 바로 이 광화문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충분히 실현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가적 관점에서 멀리 보고 국민의 뜻부터 확인했으면 좋겠다. 참전국에 대한 감사 표시 방법도 얼마든지 대안을 찾을 수 있지 않겠느냐”며 “서울시의 합리적 접근을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앞서 지난 10일 서울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종묘 앞에 고층 건물을 세우려는 재개발 계획과 관련해 종묘 보존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신속히 검토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전날(16일)에는 안전사고가 연이어 일어나고 있는 ‘한강버스’에 대한 안전성 우려를 표하며 사고 원인 규명과 안전 대책 점검을 지시하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