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칼럼] 바르셀로나,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콘셉트의 디자인 도시

2025-04-21

(조세금융신문=장기민 경희대학교 창업학 지도교수) 바르셀로나는 스페인의 카탈루냐 지방을 대표하는 도시로, 유럽에서도 가장 독창적인 도시 콘셉트를 가진 곳 중 하나다.

이곳은 고대 로마 유적과 중세 고딕 양식의 건축물이 존재하는 동시에, 현대적인 디자인과 미래지향적 도시 계획이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는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도시 자체가 마치 하나의 예술 작품처럼 정교하게 설계된 일종의 공간이다.

도시 바르셀로나의 특징은?

이 도시의 콘셉트는 크게 세 가지 요소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역사와 전통을 보존하면서도 혁신을 지속하는 균형 잡힌 발전 모델. 둘째, 가우디를 비롯한 예술가들의 영향을 받은 창조적인 도시 디자인. 셋째, 시민의 삶의 질을 중심에 둔 도시 계획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바르셀로나는 전 세계의 유명 도시들이 앞다투어 벤치마킹하는 대표적인 도시의 상징적 모델이 되었다. 바르셀로나의 정체성은 그렇게 확립되어 나갔다.

바르셀로나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안토니 가우디(Antoni Gaudí)의 건축물이다. 가우디는 자연에서 영감을 받은 독창적인 건축 양식을 바탕으로 사그라다 파밀리아(Sagrada Família), 카사 밀라(Casa Milà), 카사 바트요(Casa Batlló), 구엘 공원(Park Güell) 등을 설계했다. 그의 작품은 단순한 건물이 아니라, 도시 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결된 예술적 실험으로 평가받는다.

가우디의 건축물 중 카사 밀라는 건축의 카테고리라기보다는 하나의 조각 작품으로 평가받는 대표적인 주거 프로젝트다. 전통을 거부하는 동시에 자연에서 영감을 얻어 완성해 낸 혁신적 건축 디자인의 가치는 도시의 랜드마크를 완성하는 동시에 바르셀로나를 바르셀로나스럽게 구축한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가우디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건축가인 ‘살바도르 발레리 이 푸푸룰’도 바르셀로나에 ‘카사 코말라트’를 비롯한 아름다운 건축 공간들을 건설하며 바르셀로나의 모더니즘 건축양식을 조금씩 완성해 갔다.

19세기 말, 일데폰스 세르다(Ildefons Cerdà)가 설계한 ‘에샴플레(Eixample)’ 지역은 바둑판 모양의 거리 구조와 넓은 도로, 정사각형 블록 형태의 건물 배치를 통해 도시 계획의 혁신을 보여준다. 이는 바르셀로나가 계획된 도시임을 증명해주는 대표적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현대 건축에서도 바르셀로나는 선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토요 이토(Toyo Ito)’가 설계한 ‘토레 아그바르(Torre Agbar)’는 가우디의 유기적 형태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건물이며, 바르셀로나 올림픽(1992)을 계기로 재탄생한 해안 지역은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 디자인을 고려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대표적 사례다.

이러한 건축적 실험과 혁신은 바르셀로나의 정체성을 더욱 독창적으로 만든다. 이 같은 철학적 유산과 현대사회의 혁신적 계승은 바르셀로나의 크나큰 도시적 경쟁력이 되었다.

바르셀로나는 공공 공간의 활용과 도시 디자인에서 세계적인 모범 사례로 꼽히고 있다. 단순히 관광객만을 위한 공간이 아닌,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간 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확장해 나간다.

대표적인 예로 ‘슈퍼블록(Superblock)’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이는 바르셀로나 시정부가 추진한 교통 제한 정책으로, 여러 개의 블록을 하나의 구역으로 묶고 차량 진입을 최소화하여 보행자 중심의 거리를 만드는 계획이다. 슈퍼블록 내에서는 자동차보다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우선권을 가진다.

또한 공원과 광장이 조성되어 주민들이 여유롭게 도심을 즐길 수 있다. 이는 도시 내 탄소 배출을 줄이고, 친환경적이면서도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을 구축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또한, 바르셀로나는 도시 곳곳에 개방형 광장과 공원을 조성하여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라 람블라(La Rambla)’ 거리처럼 보행자를 위한 공간이 넓게 조성된 곳은 도시의 활력을 높이고, 시민들이 자연스럽게 문화와 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공공 공간의 활용은 바르셀로나가 단순한 대도시가 아니라, 시민 중심의 인간적인 도시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다.

문화와 혁신의 중심지 바르셀로나

바르셀로나는 건축뿐만 아니라 문화와 혁신의 중심지로도 유명하다. 매년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MWC)’는 바르셀로나가 세계적인 기술 허브로 성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디자인과 창조 산업을 지원하는 다양한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와 공동 작업 공간이 조성되어 창의적인 기업과 예술가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바르셀로나는 예술과 스포츠에서도 세계적으로 유명한데 FC 바르셀로나는 단순한 축구 클럽이 아니라, 도시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징적인 존재다. 바르셀로나 시민들에게 축구는 단순한 스포츠가 아니라, 문화이자 정치적 표현의 수단이며,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을 정도이다.

바르셀로나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시다. 가우디의 유산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스마트 시티와 친환경 정책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설계하고 있다. 보행자 중심의 도시 계획, 예술과 문화가 녹아든 공공 공간, 혁신적인 기술 산업의 발전 등은 바르셀로나가 단순한 여행지가 아닌 ‘미래 도시의 모델’이 되도록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된 바르셀로나의 도시 콘셉트는 전 세계 많은 도시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중요한 사례가 될 것이다.

[프로필] 장기민 경희대학교 창업학 지도교수

•인하대학교 경제학, 도시계획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MBA

•국민대학교 디자인학 석사

•서울창업기업원 기업경영위원장

•문제해결위원회 위원장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