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보안 리딩 기업 스패로우, 공공조달 각 부문 점유율 1위 수성

2025-05-21

스패로우(대표 장일수)는 소프트웨어 취약점 분석 도구인 ‘Sparrow SAST/SAQT’, ‘Sparrow DAST’, ‘Sparrow SCA’가 지난해에도 공공조달의 각 부문에서 점유율 1위 자리를 수성했다고 밝혔다.

국내 SW 공급망 보안 시장의 선도기업인 스패로우는 기획재정부,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남동발전, 강원랜드, 천안시청 등에 제품을 공급하며 공공기관의 사이버보안 강화를 이끌고 있다.

최근 국내 기업과 공공기관을 겨냥한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는 가운데, 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에서는 대국민 서비스의 보안 강화를 위해 SW 공급망 보안 체계를 고도화하고 있다. 다양한 SW 개발 및 운영 단계에서 보안 취약점을 식별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보안 테스트 도구 3종을 공공조달 시장에 제공하고 있는 스패로우는 소스코드 정적 분석(SAST)과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분석(DAST), SW 구성 분석(SCA) 부문에서 각각 점유율 1위 자리를 굳건히 유지하고 있다.

스패로우의 대표 제품인 Sparrow SAST/SAQT는 국내 공공조달 시장에 가장 먼저 공급된 소스코드 정적 분석 솔루션으로, 2024년 해당 부문에서 시장점유율 약 80%를 기록하며 10년 연속 1위를 달성했다.

Sparrow SAST/SAQT는 소스코드 보안 약점과 품질 결함을 분석하는 것은 물론, 실제 코드를 기반으로 취약점 발생 위치와 함께 안전한 코드 예시를 제공해 실질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C/C++, Java, Python,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등 25개 이상의 언어 및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며, 행정안전부의 SW 보안약점 진단가이드를 포함한 주요 점검 기준으로 코드를 분석해 SW 품질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Sparrow DAST는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 분석 부문에서 지난해 시장점유율 97%를 기록하며 4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해당 제품은 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취약점 분석·평가 기준, OWASP Top 10 등의 점검 기준으로 운영 환경에서 발생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분석한다. 취약점 분석 과정을 재현하는 기능으로 취약점 발생 원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검출된 취약점을 건별로 이행진단할 수 있어 공공기관 웹 서비스의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다.

Sparrow SCA는 SBOM(소프트웨어 자재명세서) 기반으로 SW 위험 관리가 가능한 제품으로, 2022년 공공조달 시장에 선뵌 이래 계속해서 해당 시장에서 1위 자리를 수성하고 있다.

Sparrow SCA는 소스 코드 또는 바이너리 분석을 통해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식별하고, 라이선스 유형 및 고지의무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Log4j와 같은 오픈소스 취약점이 발견되면 안전한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SBOM을 CycloneDX, SPDX, NIS SBOM 등의 다양한 표준 형식으로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다.

스패로우 장일수 대표는 “SW 공급망 보안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대국민 서비스에 더욱 강력한 보안 체계가 요구된다”며, “공공조달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스패로우는 개발부터 운영까지 SW 개발 전주기에 걸친 보안 취약점 분석을 지원해 공급망 보안 강화가 가능한 만큼, 공공기관이 신뢰받는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연구와 개선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스패로우는 2025년 상반기 조달 이벤트를 6월 30일까지 진행한다. 조달청 디지털서비스몰에 등록된 Sparrow SAST/SAQT, Sparrow DAST, Sparrow SCA 중 1개 이상 구매한 고객에게는 SW 공급망 보안 컨설팅 1회를, 2개 이상 동시에 구매한 고객에게는 SW 취약점을 한 곳에서 분석하고 관리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 Sparrow Enterprise를 제공한다.

★정보보안 대표 미디어 데일리시큐 /Dailysecu, Korea's leading security media!★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