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방식 결정 미뤄져···내달 결론 여부에 촉각

2025-08-25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관련 일정이 최근 급작스럽게 변경되며, 상세설계 및 선도함 건조 사업 방식 결정이 미뤄지고 있다. 구형 설계, 사업자 선정 방식 등 논란이 여전한 가운데 방위사업청의 다음달 결론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28일 개최 예정인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에 KDDX 관련 안건이 상정되지 않을 전망이다. 지난 22일과 25일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 외부 위원 설명회가 열렸지만, KDDX 사업 방식 안건은 제외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초 방사청은 이달 방추위에서 수의계약을 전제로 KDDX 사업방식 결정을 마무리할 계획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들을 만나 관련 설명도 진행했으며 두 차례 진행된 외부 위원 대상 설명회에서도 수의계약을 설득할 예정이었지만 막판에 안건을 제외한 것이다.

업계에서는 방사청이 구형 논란 등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KDDX의 경우 2012년 개념설계(한화오션), 2020년 기본설계(HD현대중공업)를 수행한 만큼 과거의 작전운용성능(ROC)이 적용돼 있어 미래 전장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의 역량을 모은 공동설계를 통해 최신 구축함을 건조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반면 개념·기본설계에만 10년가량을 소요한 만큼 충분히 미래 기술력이 반영됐고 상세설계에서 업그레이드할 수 있어 HD현대중공업과 수의계약에 문제가 없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정부의 투명한 사업자 선정 지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안규백 국방부 장관은 국회의원 시절부터 KDDX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법과 원칙에 따라 적법하고 투명하게 추진해야 한다”라면서 수의계약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혀 왔다. 여기에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방사청장 등 인사가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의 수의계약 강행은 부담 요인이기도 하다.

방사청은 기술자문위원회 검토 등을 거쳐 우려를 해소하고 내달 18일 분과위원회, 내달 말 방추위에서 최종 결정을 내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방추위 내에서 의견 합치를 이루지 못했을 경우 해당 안건의 보류, 기각 결정이 나올 수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방사청이 이달 방추위에서 KDDX 사업 추진 방식을 결정하려 했지만 갑작스럽게 안건에서 제외했다”라면서 “드론 대응 등 현대전에 맞는 설계가 필요하고 이에 맞는 사업방식 결정을 두고 갑론을박이 있다”라고 밝혔다.

조성우 기자 good_sw@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