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성과 연동 주식 보상’(PSU)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공식 반박했다. 노조 등 일각에서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의혹을 제기하자 “사실과 다르다”고 정면 대응에 나선 것이다.
16일 삼성전자는 성과 연동 주식 보상 제도 관련 루머에 사실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사내 공지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앞서 삼성그룹 초기업노동조합(초기업노조) 측은 PSU에 대해 “임직원 보상용 자사주는 소각 예외 대상”이라며 “자사주 지급 약정이 자사주 소각을 회피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삼성전자는 “회사는 주주가치 제고 등을 위해 지난해 11월부터 지난 9월까지 총 10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이 중 8.4조원 규모의 자사주는 ‘소각’ 목적으로, 1.6조원 규모의 자사주는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활용하겠다고 이미 공시한 바 있다”며 “상법 개정에 따른 자사주 소각 의무 회피 수단으로 PSU 제도를 시행한다는 루머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현재 ‘소각’ 목적으로 매입한 자사주 중 3조원 규모는 이미 소각을 완료했다. 나머지 5.4조원 규모의 자사주는 적절한 시점에 소각할 계획이다. 또 ‘임직원 보상’ 목적으로 매입한 1.6조원 규모는 지난 5월 전 직원에게 1인당 30주씩 나눠준 자사주와 초과이익성과급(OPI) 등의 재원으로 활용된다.
2028년 이후 지급될 PSU는 향후 자사주를 추가로 매입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지급할 주식이 부족할 경우 임직원 보상용 자사주를 추가 매입해야 하므로 이 경우 주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기존 주주들의 주주가치도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14일 삼성전자는 향후 3년간 주가가 오를 경우 직원들에게 자사주 지급량을 더 늘리는 구조의 PSU를 도입해 직원 보상과 주주 가치를 함께 극대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