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임 중 건강상태 제대로 안밝혔나…바이든 '말기암' 논란
"감췄다" 음모론 제기도…트럼프도 '은폐' 주장에 동조
전열 재정비하려던 민주당 당혹…진단 지연 흔하지만 의료계 일각 의구심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올해 초 퇴임한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말기 전립선암을 앓고 있으며 암이 뼈까지 전이됐다는 발표를 계기로 재임 중 그의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았다는 의혹이 거세게 일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현 대통령 등 공화당 측은 바이든 집권기 백악관이 고의로 그의 건강 관련 정보를 은폐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작년 선거 패배 후 전열을 재정비하려던 민주당 측은 바이든발 악재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지난 18일 바이든 전 대통령 측은 그가 전립선암 진단을 16일에 받았으며 암이 뼈까지 전이된 상태라고 발표했다.
전립선암의 악성도를 표시하는 '글리슨 점수'로는 최악 수준(10점) 바로 아래인 9점, '등급 그룹'으로는 최악인 '그룹 5'에 해당했다.
이런 발표가 나온 당일 트럼프 대통령은 "진단 소식을 듣고 슬퍼하고 있다"며 "빨리 성공적으로 회복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으나, 다음날인 19일에는 "(발병 사실이) 대중에게 오래전에 공지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놀랐다"며 "그런 상황에 이르려면 수년은 걸린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전립선암과 인지능력 저하 등이 건강검진에서 발견되지 않은 점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 건강검진에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했던 의사는) 조(바이든 전 대통령)의 인지능력에 문제가 없다고 말했던 바로 그 의사"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JD 밴스 현 부통령은 19일 로마 출장을 마무리하면서 기자들을 만나 "왜 미국민이 그(바이든 전 대통령)의 건강상태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었느냐"며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AFP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도 18일 바이든 전 대통령의 암이 더 일찍 발견됐어야 하지 않느냐는 의문을 제기한 데 이어 19일에는 진단이 오래 전에 나왔으나 바이든 측이 이를 은폐했을 것이라는 확인되지 않은 주장을 소개하기도 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건강상태 은폐 의혹은 이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책 '원죄'(Original Sin)가 20일(현지시간) 출간을 앞두고 있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짚었다.
CNN의 제이크 태퍼 기자와 악시오스의 앨릭스 톰슨 기자가 쓴 이 책에는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임기 말에 인지능력이 급격히 악화했으나 측근들이 그를 보호하기 위해 이를 은폐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민주당 측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의 선거운동에 참여했던 민주당 선거전략가 피트 지안그레코는 WSJ에 "백악관이 공개한 것보다 상황이 더 나빴다는 점은 명확하다"며 "대통령을 모든 이들의 접근으로부터 차단한 사람들이 대가를 치러야 할 때"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잠재적 대권주자로 꼽히는 크리스 머피(민주·커네티컷) 연방상원의원은 "(조 바이든이 지나치게 고령이어서 재선 도전이 무리라는) 유권자들의 목소리에 민주당이 귀를 기울이지 않은 것은 실수"라고 18일 NBC 방송에 출연해 말했다.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작년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바이든 전 대통령에게 도전했던 딘 필립스(민주·미네소타) 전 연방하원의원을 인용해 바이든 측이 암 진단 발표 시점을 이 때로 고른 것은 동정심을 일으켜 당내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일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바이든 전 대통령의 전립선암이 말기로 진행된 후에야 발견됐다는 점에 대해 의료계에서는 '드물지 않은 일'이라는 지적과 '미국 대통령은 세계 최고의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사람인데 이해하기 어렵다'는 견해가 엇갈린다.
매사추세츠종합병원 브리검 암센터의 비뇨기암 과장인 매슈 스미스는 AP통신에 "매우 흔한 시나리오"라며 "완전히 건강한 것처럼 느껴도 전립선암이 전이된 상태라는 청천벽력 같은 진단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표준 가이드라인상 70세 이상 남성에게는 전립선암 검사를 권고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바이든 전 대통령이 건강검진에서 전립선특이항원(PSA) 혈액검사를 받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PSA 혈액검사로 전립선암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지만, 진행이 빠른 악성 전립선암은 이런 방식으로 잘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설명에 따르면 전립선암의 70%는 전이되기 전에 발견된다.
스미스 과장은 바이든 전 대통령의 경우처럼 전립선암이 전이된 경우는 "(진행을 더디게 하고 증상을 완화하며 수명을 연장하는) 치료는 충분히 가능하지만 완치는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WSJ는 미국암학회(ACS) 통계를 인용해 전이된 전립선암 환자 중 진단 후 5년 시점에 생존해 있을 확률이 37%라고 전했다.
노스웨스턴 헬스 네트워크의 암 부문 의학실장인 크리스 조지는 로이터통신에 "(바이든 전 대통령이 당연히) 매우 철저한 건강검진을 받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만약 작년에 받은 혈액검사에서 결과가 정상으로 나왔다면 나로서는 믿기 어려운 얘기"라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화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