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정부의 새로운 도약...효율적 AP 관리 체계 도입"

2025-04-14

공공 시스템 안정성 강화 위한 국제 표준 적용

행안부, 연내 준비 상황 반영…내년부터 의무화 예정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공공 정보 시스템의 장애를 예방하고 장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해 10월 도입한 정보 시스템 '표준 운영 절차'의 적용 범위가 정부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까지 확대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0월 공공 정보 시스템의 장애 예방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표준 운영 절차'의 적용 범위를 정부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AP)까지 확대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공공 정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장애 발생 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마련됐다. 행안부는 이미 정보 시스템의 예방 점검 체계 및 표준 운영 절차를 설정하고 장애 예방 및 대응, 추가 관리 체계를 규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에 행안부는 AP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AP 표준 운영 절차'를 제정해 모든 행정 및 공공 기관에 배포할 예정이다. 연내 기관별 준비 상황과 예산 확보 여부를 반영하여 적용을 권고하고, 내년부터는 의무화할 계획이다.

기존의 AP 관리체계는 표준화된 절차가 없어 기관 간 관리 수준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수정 작업 시 검증 부족으로 인한 장애를 초래하고 데이터 연계 관리 부족 문제로 지적됐다.

따라서 행안부는 AP 관리 과정에서 장애 예방을 위해 국제 표준을 바탕으로 ▲배포 관리 ▲테스트 관리 ▲연계 관리 ▲형상 관리 ▲운영 상태 관리의 5개 분야에 대한 새로운 절차를 수립하고 기존 변경 관리 절차를 AP에 맞춰 개선했다.

특히 연계 시스템 간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연계 관리 절차를 추가하고, 개발 작업 후 소스 코드 및 산출물의 버전 기록을 통해 형상 관리 절차도 마련됐다.

아울러 운영 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운영 상태 데이터 수집·분석을 위한 운영 상태 관리 절차도 신설됐다. 요청 관리, 장애 관리, 문제 관리는 '정보 시스템 표준 운영 절차'를 따르기로 했다.

이용석 디지털 정부 혁신실장은 "AP는 업무별로 다르기 때문에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나 안정성 확보가 대단히 중요하다"며 "디지털 정부 안정성을 위한 대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공공 정보 시스템을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