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경기 침체와 소비 위축에도 올해 3분기 한국 미술시장은 주요 거장 작품의 고가 낙찰에 힘입어 매출이 상승하며 반등 조짐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8일 한국미술품감정연구센터(KAAAI·카이)의 분석에 따르면 3분기(7~9월) 낙찰 총액(수수료 미포함)은 전년 동기 대비 32.0% 증가한 313억4968만원을 기록했다.

총 경매 횟수는 오프라인 10회, 온라인 37회로 지난해 기록(오프라인 13회·온라인 41회)보다 줄었으나 케이옥션, 서울옥션 등 대형 경매사를 중심으로 고가 작품 거래가 집중되며 평균 낙찰가가 상승했다.
특히 이중섭, 박수근 등 거장들의 고가 작품이 전체적인 시장의 반등을 견인했다. 최고가 낙찰 작품은 이중섭의 '소와 아동'으로, 케이옥션 경매에서 35억2000만 원에 낙찰됐다. 야요이 쿠사마의 '펌킨'(Pumpkin)은 서울옥션에서 29억 원에 거래됐으며, 박수근의 '산'은 12억 원에 낙찰됐다.
주요 경매사별 실적을 살펴보면, 케이옥션은 낙찰총액 163억 7027만 원으로 전년 대비 59.5% 성장했다. 서울옥션 역시 낙찰총액 105억 3885만 원을 달성하며 23.7% 성장했다. 반면, 마이아트옥션과 아이옥션 등 고미술 특화 경매사, 일부 중소 경매사는 전반적으로 낙찰총액 및 거래량이 감소했다.
카이는 이 같은 현상에 대해 "고가 작품이 전체 매출의 중심으로 부상하며 시장 심리 회복의 신호탄 역할을 했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다만, 중소 경매사 및 고미술 시장의 침체가 가속화되고 온라인 경매 성장의 한계가 뚜렷해지면서 오프라인 중심 구조는 더욱 견고해졌다고 설명했다.
이번 보고서는 단기 실적 반등을 넘어 미술품 조각투자 등 신시장 성장, 저평가 틈새작 발견, 메가갤러리와 중소화랑의 구조조정 등 구조적 변화의 요구가 커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카이는 "장기적 신뢰와 투명성, 예술 본질 가치 강화, 시장 구조 혁신이 병행될 때 한국 미술시장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세계적 위상 강화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alice09@newspim.com




![[GAM] 컴포트 시스템즈 1000달러 돌파 ② 2025년 9개월 순이익 84% 급증](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회사채 활황·기준금리 인하 기대에…신용 스프레드 연중 최저 [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0/28/2GZCRCK2GR_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