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무역 규제 강화와 강달러 기조가 수출 중소기업에 직격탄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 4곳 중 1곳이 경영 악화를 전망했지만, 정작 대응 전략을 마련한 기업은 10%에 불과했다. 원가 절감과 공급망 다변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및 고환율 장기화에 대한 수출 중소기업 CEO 의견조사'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조사는 지난 10일부터 21일까지 수출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우선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경영실적 전망에 대한 '부정적' 응답은 28.0%로 '긍정적'(6.4%)보다 4배 이상 높았다. '변화 없음'은 65.6%로 나타났다.
부정 전망의 이유(복수응답)로는 '보편적 기본 관세 등 무역 규제 강화 도입'(61.4%)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강달러 기조 유지 및 환율 변동성 확대(50.0%)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및 원자재 비용 증가(38.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의 대비책 마련은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한 대응전략이 없다는 기업이 89.8%에 달했다. 이어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원가 절감 전략(5.6%) △대체 공급망 확보 및 원자재 수급 관리 강화(2.4%) 등의 소수응답이 있었다.
CEO들은 정부 정책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시급한 정부 지원 정책으로 △원부자재 가격 변동 대응을 위한 지원책 확대(24.2%) △금융 지원(정책자금·보증 등) 확대(22.4%) △물류비 지원 확대(21.0%) △세제 지원(법인세·투자세액 공제 등) 확대(19.4%) 등을 꼽았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올해 경영실적 전망이 어두울 것이라는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의 4배에 달했다”며 “미국 우선주의에 기반한 고관세 정책으로 인해 수출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수출 중소기업 10개 중 9개사가 트럼프 2기 관세정책에 특별한 대응전략이 없다고 나타난 만큼 금융·세제 지원과 원부자재·물류비 지원을 확대해 수출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