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우 성향 전직 한국사 강사 전한길씨가 정부의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정책을 비난하던 중, 이재명 대통령 지지자들을 향해 “성폭행 당하고 중국인들한테 팔려가고 당해보라”라고 말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전씨는 지난 4일 자신의 유튜브 영상에서 “이재명 지지하시는 분들은 밤에 성폭행 당하고, 중국인들한테 팔려가고 한번 당해보라. 중국 범죄가 얼마나 많은지 알고 하는 소리냐”며 “끝까지 (이 대통령을) 지지하십시오. 그래서 성폭행 당하고, 막 되어보라. 당하고 난 뒤에 그때서야 아이고 속았구나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지역경제 활성화’라고 설명하는 대통령을 겨냥해, 오히려 여권 지지자들이 범죄 피해를 입게 될 것이라는 주장을 내놓은 셈이다.
그러나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제도는 윤석열 정부 시절 이미 결정된 정책이다. 한 누리꾼은 “정치적 의견 차이는 있어도 선을 넘은 발언”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전씨의 막말 논란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그는 지난 5일 유튜브 라이브에서도 “어제 저녁에 만난 어떤 회장님이 이재명한테 10만달러만 (현상금으로) 걸어도 아마 나설 사람 많을 것 같다고 하더라”며 “(이 기업인이) 이재명을 죽이라는 뜻이 아니라 이재명을 잡아 와서 남산 꼭대기 나무에 묶어 두고 밥을 줘야 된다고 했다”고 말했다. 기업인의 발언을 인용하는 형식을 취했지만 사실상 대통령을 겨냥한 테러 조장 발언 아니냐는 비판이 쏟아졌다. 전씨는 해당 내용을 ‘이재명 현상금 걸어라’라는 제목으로 쇼츠 영상까지 올렸다.
파장이 커지자 대통령실도 공식 반응에 나섰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지난 6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씨의 발언에 대해 “단호하게 조처하겠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전씨는 이후 라이브 방송에서 “(남의 말을) 인용했을 뿐이고 풍자인데 뭐가 문제냐”며 아랑곳하지 않는 태도를 보였다.
한편 윤 전 대통령 부부와 가까운 사이로 알려진 서정욱 변호사는 전씨의 발언에 대해 공개적으로 “사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 변호사는 지난 7일 YTN 라디오 ‘김준우의 뉴스 정면승부’에서 “(전 씨의 발언이) 반 농담이고 남의 말을 인용한 것일 수는 있지만, 인지도와 영향력이 있는 만큼 조금 오버했다는 생각이 든다”며 “사과, 해명하면 되지 않을까. 대통령실도 조금 관대하게 처리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정의란 무엇인가…내년 6월 유권자들에 질문 던지다 [오상도의 경기유랑]](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9/2025110950487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