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과 싱가포르의 농업

2025-04-23

[전남인터넷신문]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불을 댕긴 관세전쟁이 식량과 농산물 시장에도 거센 파도를 몰고 왔다. 이 와중에 세계에서 가장 도시화된 국가 중 하나인 싱가포르는 식량 안보에 대한 긴박한 질문에 직면했다.

싱가포르는 도시화가 극도로 진행된 국가로, 농업에 적합한 토지가 거의 없어 국토의 약 1%만이 농업에 이용한다. 전체식량의 약 90%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농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5%에 불과하다. 이러한 구조에서 농업 관세를 유지하는 것은 국내 소비자에게 불필요한 비용 부담을 초래할 수 있어 대부분의 농산물과 식품에 대해 수입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다.

이는 자유무역을 핵심 경제 전략으로 삼고 있으며, 식량 안보를 강화하고, 다양한 국가로부터 안정적인 식량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대신 수입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소비자 신뢰를 유지하기 위해 엄격한 위생 및 검역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대부분의 수입 농산물에 관세를 부여하지 않으므로 관세전쟁에서 비켜서 있으나 미·중 무역갈등이 최고조에 이르던 2018년 이후 불확실성이 커져 식량 수입국의 위기감이 커졌다, 그리고 코로나19 팬더믹 동안 말레이시아가 일시적으로 닭고기 수출을 제한했던 사건은, ‘수입에만 의존하는 구조’의 리스크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였다.

싱가포르는 이를 계기로 식량 안보 전략을 재점검하게 되었고, 식량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적극적이다. 대표적인 것이 “30 by 30” 전략이다. 이는 2030년까지 국가 전체식량 수요의 30%를 자국 내에서 생산하겠다는 정책이다.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싱가포르는 도시농업과 스마트 농업에 전례 없는 투자를 시작했다. 수직 농장, 수경재배 시스템, 인공지능 기반의 작물 관리 기술이 도심 한복판에서 시험되고 있다. 항구 근처 창고의 수직 농장에서는 하루 수천 개의 채소가 생산되며, 공간의 한계를 기술로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단순한 농업 혁신을 넘어, 지속가능한 미래도시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과 무역에서 적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농산물의 수입국인 싱가포르는 관세전쟁의 수혜국이 될 수 있으나 관세전쟁은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생존의 문제라는 인식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로컬 식품’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으며, 신선도와 안전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인식 변화도 가속화하고 있다.

싱가포르 정부 또한 관세전쟁을 식량 자급률 향상을 위한 새로운 도약의 발판으로 삼고 있다. 기술과 정책, 시민 인식을 총동원해 이를 식량 기술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도시농업 관련 스타트업과 식품 기술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식량 자급률 향상에 그치지 않고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