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업계, 정부 지원 '요구’..."美트럼프 2기發 기회 잡아야"

2025-01-19

【 청년일보 】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주요국들이 자국 중심의 제약바이오 공급망 재편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대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 성공전략’을 주제로 한 정책보고서(KPBMA Brief)를 통해 우리 산업계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번 정책보고서는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의 ‘글로벌 제약바이오 지형 변화와 한국 제약바이오 기업의 대응’을 비롯해 ▲한국 제약바이오산업, 글로벌 진출의 길(이현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본부장) ▲한국 제약바이오기업의 글로벌(중국) 성공전략(이상재 셔더코퍼레이션 대표) 등을 소개하고 있다.

또한, 안세진 아카디아 대표의 ‘미국 의약품 직판 :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와 준비 전략’ 외 ▲손경복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의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 의약품 조달시장 진출 전략’ ▲최정은 법무법인 세종 변호사의 ‘제약바이오기업 국내외 투자·투자유치 시 고려사항’ 등 시장 환경 변화에 대한 분석도 담고 있다.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는 트럼프 2기 행정부 등 대외 변수가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형에 미칠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진단했다.

이 부교수는 “미국은 그간 ‘바이오보안법(Biosecure Act)’을 발의하는 등 해외 의약품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으며,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향후 중국에 대한 견제 정책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중국과 경쟁 관계에 있는 우리 제약바이오 기업에게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유럽과 일본에서도 각국의 제약바이오 의약품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 중임을 전했다.

유럽은 2020년 ‘유럽 제약산업 전략’을 발표하고, 2023년 의약품 공급 안정화를 위한 중장기 전략 발표와 함께 ‘핵심의약품연합’을 결성하며, ‘바이오기술법’을 제정해 관련 규제 완화 및 투자 촉진을 이어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본 역시 ▲‘바이오 전략 2019‧2020’ ▲‘백신 개발, 생산체제 강화 전략’ ▲‘바이오경제전략’ ▲‘바이오 경제전략 실행계획’ 등을 잇따라 수립하며, 2030년까지 최첨단 바이오경제 사회를 실현한다는 구상을 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 부교수는 “향후 글로벌 제약바이오 의약품 분야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에 대비해 우리의 제약바이오 의약품 공급망을 재점검하고, 관련 분야에서의 국제협력 체계를 공고히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 바이오의약품 분야의 R&D 및 기술 혁신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품을 적극 개발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며 “수출경쟁력을 갖춘 바이오의약품 분야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산업육성 지원과 기업들의 활발한 기술혁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 기업의 실제 글로벌 진출 전략 사례 역시 다각도로 다뤘다.

오세웅 유한양행 부사장은 "유한양행 ‘렉라자’…기술수출부터 FDA 승인까지" 기고를 통해 폐암치료제 ‘렉라자’의 FDA 승인이 갖는 시사점을 제언했다.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은 ‘알리글로 FDA BLA 승인: 차기 BLA 과제를 위한 제언’을 통해 혈액제제 ‘알리글로’의 미국 시장 진출기를 소개했다.

이외에도 ▲글로벌 CDMO시장 공략방안 : 생산공장 설립(이상호 롯데바이오로직스 글로벌홍보팀 대리) ▲우신라보타치가 슬로베니아에 진출한 이유(차태용 우신라보타치 상무) 등의 내용도 함께 수록됐다.

산업계의 다양한 이슈에 대한 분석도 실렸다.

표준희 AI신약융합연구원 부원장은 ‘AI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약품 제조혁신기술 동향’을 주제로 한 기고를 통해 “제약산업에서 첨단 제조혁신기술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데이터 표준화 및 통합지원을 비롯해 ▲AI 기술의 검증 체계 강화 ▲재정적 지원 확대 ▲규제과학 기반의 정책 수립, 전문 인재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김흥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의 ‘첨단 바이오기술 동향 및 신흥안보 이슈’에 대한 조언을 비롯해 ▲조인호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장의 ‘첨단재생의료 치료제 및 치료기술의 국내외 동향과 제언’ ▲박세연 한화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수석연구위원의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ESG 대응 과제’ ▲강희성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약가제도 및 유통위원회 위원(대웅제약 대외협력실장)의 ‘이중약가제의 시작과 활용가치’ 등도 소개됐다.

한편, 이번 정책보고서는 협회 공식 홈페이지의 디지털·도서정보관 내 정기간행물 메뉴에서 누구나 받아볼 수 있다.

【 청년일보=김민준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