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질 게 터졌다.”
교촌치킨이 올 들어 슈링크플레이션부터 닭고기 공급 부족 문제까지 수차례 여론의 지탄을 받은 것을 두고 가맹점주들은 이렇게 말한다. 점주들 사이에서 꼼수 가격 인상 논란 등은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는 반응이다.
지난달 치킨 업계 가운데 교촌치킨만 유일하게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불려가 질타를 받은 배경에도 점주들과의 해묵은 갈등이 자리 잡고 있다. 기자가 만난 교촌치킨 점주들은 수년 전부터 닭고기 공급 부족 문제가 지속됐다고 입을 모았다.
정상 영업이 불가능할 정도의 공급 부족은 매출 타격으로 이어졌지만 본사 측에서는 뚜렷한 조치가 없었다는 주장이다. 운영 20년 차인 서울의 한 점주는 “닭고기 100㎏을 주문하면 20㎏만 들어오는 등 가맹점 영업을 시작한 시점부터 닭고기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았다”며 6월 본사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하기도 했다.
여기에다 과거 인테리어 비용을 점주에게 떠넘겼다는 ‘갑질 의혹’까지 불거지며 갈등은 격화하고 있다. 복수의 점주가 본사의 압박과 회유로 매장을 확장·이전하면서 법적으로 규정된 본사 측 비용 지원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참을 만큼 참았다”며 손해배상 청구 소송까지 불사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공정위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교촌치킨 가맹점의 공정위 신고 9건 중 7건은 ‘부당한 점포 환경 개선 강요’였다.
교촌치킨은 2014년부터 8년간 치킨 업계 매출 1위를 지키던 절대 강자였지만 2022년 bhc치킨에 선두를 빼앗기더니 2023년에는 BBQ에도 밀려 3위로 내려앉았다. 한동안 폐점률 0%를 자랑하며 ‘상생 브랜드’의 상징으로 꼽혔지만 지난해 폐점률은 2.1%를 기록했다. 본사의 소극적 대응에 대한 불만과 내수 침체가 겹치면서 점주들은 “이제는 더 이상 못 하겠다. 가게를 접어야 할 것 같다”는 하소연을 쏟아낸다.
송종화 교촌치킨 대표는 국감에 출석해 “가맹점을 본사보다 우선으로 생각하고 생업을 유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교촌치킨은 가맹점과의 ‘상생’을 기업 철학으로 내세워왔지만 그 말이 공허한 외침에 그치는 것은 아닌지 시험대에 올랐다. ‘점주가 살아야 브랜드도 산다’는 기본을 되새기며 진정성 있는 개선책으로 상생의 본뜻을 되찾아야 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