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7일(현지 시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관세발(發) 경제 쇼크’로 초조해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금리 인하 압박에 나서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경기 부양이 시급한 상황이지만 시장에서는 이달에도 연준이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5일 주요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리고 “휘발유 가격이 갤런(1갤런은 3.78리터)당 1.98 달러(약 2760원)를 깨뜨리며 수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은 없으니 연준은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글은 같은 날 미국 노동부의 4월 비농업 일자리 지표 발표 직후 올라왔다.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는 3월보다 17만 7000명 증가했다. 이는 다우존스의 전문가 전망치(13만 3000명)를 크게 웃도는 수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식료품 가격도 내려갔고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하락했다”며 “관세로 인해 수십억 달러가 유입되면서 고용 시장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데다 좋은 소식은 더 많다”고 주장했다. 이어 “내가 말한대로 우리는 과도기에 있을 뿐이며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며 “소비자들은 수년 동안 물가가 떨어지기를 기다렸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독촉은 임기 초부터 멈추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관세 정책과 금리 인하는 병행돼야 한다며 연준을 연이어 비난하고 있다. 지난달 17일에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을 향해 사임하라는 압박까지 넣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파월 의장의 임기가 빨리 종료돼야 한다”며 “내가 그의 사임을 원하면 그는 매우 빨리 물러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근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들도 연준에 대한 금리 인하 압박 공세를 측면에서 지원하고 나섰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지난 1일 폭스비즈니스와 인터뷰를 갖고 “현재 2년 만기 국채 금리가 연방기금 금리보다 낮다”며 “이는 연준이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시장의 신호”라고 강조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최근 CNBC를 통해 “사람들이 이전 정부 때와 같은 물가 급등이 다시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알기 때문에 국채 금리가 하락한 것”이라며 “국채 금리가 하락해 이자 비용을 줄어 미국 재정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준을 압박하고 나선 것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도 마찬가지였다. 머스크 CEO는 지난달 30일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워싱턴DC의 연준 본부 보수공사 비용이 과도하다며 자신이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의 인력을 파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머스크 CEO는 “결국 이 모든 것은 납세자들의 돈”이라며 “연준이 실제로 인테리어 디자이너에게 25억 달러(약 3조 6000억 원)를 쓰고 있는지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준은 2021년부터 본부 보수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측근들의 공세와 달리 시장에서는 연준이 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을 싣고 있다. 물가상승률이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여전히 웃도는 데다 관세 전쟁의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점에서다. 실제 미국 상무부는 지난달 30일 계절 조정 기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지난해 4분기 대비 연율 -0.3%를 기록했다고 예비 집계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 2.4%에서 크게 둔화한 수치다. 미국 분기 GDP가 역성장한 것은 2022년 1분기 이후 처음이다. 연준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 직후인 지난 1월 29일과 3월 19일 등 올 들어 두 차례 열린 FOMC 회의에서도 모두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로 유지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