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70%는 주택 시장 ‘붕괴’ 걱정

2025-05-05

32%는 주거비 감당 우려

행정부 정책 대한 회의감

고금리 장기화 압박감 커

“전면적인 폭락 확률 낮아”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침체 불안감이 심화하는 가운데, 소비자 10명 중 7명은 결국 주택 시장이 붕괴에 이를 것이라고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회사 클레버 리얼에스테이트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0%는 주택 시장 붕괴가 임박했다고 믿고 있으며, 32%는 경제 불안으로 인해 향후 주거비를 감당하지 못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들에 대한 회의감도 두드러졌다. 응답자의 72%는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경제에 해를 끼칠 것이라 봤고, 81%는 관세 및 무역 전쟁이 미칠 영향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는 주택금리를 낮추고 물가를 안정시키며 주거비 부담을 줄이겠다고 공언했던 트럼프의 대선 공약과는 반대인 흐름이다.

또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이 금리를 높이는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리얼터닷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조엘 버너는 “현재의 주택 시장 상황은 분명히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들에게 불안 요인”이라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고금리를 지속시키고 있어 구매자들의 심리적 압박이 크다”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단기간 내 전면적인 주택 시장 붕괴 가능성은 작다고 전망했다. 주택 수요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버너는 “만약 집값이 하락하게 된다면, 그동안 구매를 미뤄온 수많은 구매자가 본격적으로 움직일 것이고, 이는 자연스럽게 시장을 떠받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앞으로의 가격 상승을 우려해 지금이 구매 적기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들은 54%에 달했지만, 동시에 전체의 32%는 주요 소비 계획을 미루고 있었다. 특히 집을 사려 했던 사람의 22%와 집을 팔려 했던 사람의 13%는 계획을 보류 중이라고 답했다.

경제 전반에 대해서 응답자의 63%는 현재 정부가 경제 문제에 대해 올바른 조처를 하고 있지 않다고 평가했고, 단 26%만이 지난 6개월보다 현재 경제적으로 나아졌다고 밝혔다. 앞으로 6개월 안에 나아질 것으로 기대하는 비율도 34%에 그쳤다.

물가 상승을 걱정한 응답자의 비율도 상당했다. 전체 응답자의 74%는 향후 1년 안에 인플레이션이 악화할 것으로 봤다. 트럼프 대통령의 인플레이션 대응을 지지하는 비율은 39%에 불과했다.

한편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요구는 강하지만, 현행 정책에 대한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78%는 정부 지출 감축에 찬성하지만, 행정부의 접근 방식에 대한 지지는 46%에 그쳤다.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에 대한 지지도는 44%로 절반에 못 미쳤다.

정부 보조 프로그램에 대한 감축 우려도 심각했다. 75%는 정부 복지 축소가 자신이나 가족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봤으며, 11%는 실제로 노숙 상태에 이를 수 있다고 답했다. 특히 사회보장제도에 대한 불안감은 가장 높았으며, 85%가 혜택 변경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우훈식 기자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