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를 활용한 국내 양봉산업의 과제는? 벌꿀 품질 차별화·브랜드 전략 마케팅 강화

2025-02-11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국내 양봉산업은 대외적인 요인 등으로 큰 어려움에 봉착해 있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다. 지속적인 꿀벌 사라짐을 비롯해 병해충 발생, 꿀벌 먹이원 부족, 소비 부진에 따른 농가 경영악화, 업계를 둘러싸고 있는 주요 현안 해결과 물밑처럼 밀려오는 수입 벌꿀과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관건일 것이다.

따라서 국내 양봉산업의 활로를 모색하는 방안으로 ‘챗GPT’는 현 양봉산업을 어떻게 진단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주요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벌꿀 품질 향상을 통한 차별화와 경쟁력 확보다. 국내 소비자들의 최대 관심사는 바로 건강이다.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기능성 고품질의 벌꿀을 생산하고 이를 차별화된 제품으로 마케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예컨대 유기농 벌꿀, 기능성 벌꿀 등을 생산하여 고급화를 통해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벌꿀 브랜드화와 마케팅 강화이다. 국내 벌꿀의 품질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국제적으로 브랜드화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국내외 전시회나 농산물 박람회에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SNS 및 온라인 마케팅을 통해 제품을 널리 알리는 방안을 모색해야만 한다.

셋째, 기술 혁신 및 자동화 설비 도입이다. 양봉업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 기술과 스마트 기술을 도입하는 것도 중요한 방안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벌통 관리와 자동화된 채취 시스템 도입 등을 통해 고령화에 따른 고질적인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작업능률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생태계 복원과 환경 보전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양봉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는 꿀벌을 보호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담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꿀벌의 서식지인 꿀샘나무(밀원수)와 꽃을 지속적으로 심고 가꾸어 보호하며, 농약 사용을 줄이는 등의 친환경적인 농업 정책으로 병행되어야 한다.

다섯째, 산업 교육과 연구개발은 빼놓을 수 없다. 양봉산업에 대한 교육과 연구개발을 통해 새로운 생산 방식을 개발하고, 양봉업자들이 지속적으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세워야만 한다. 이와 함께 꿀벌 질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범정부 차원의 연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정책적 아젠다 발굴 및 지원 확대 등이다. 정부의 지원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 양봉농가들이 자금 조달이나 시설 개선, 환경 보호 등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양봉산업의 공공성이 강조될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 개선과 정책적 장려가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노력이 종합적으로 이루어질 때야 비로써 국내 양봉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과 활성화가 가능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양봉산업에 대한 범국민적 관심과 이에 상응하는 정부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