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특강 김영진 박사 연재 ①
노인환자의 치과수술시 주의사항과
안전한 약물요법 연재를 앞두고
前)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 김영진 치의학 박사

노인이라는 개념은 보통 인구학적으로는 65세, 생물학적으로는 75세 부터로 간주되나 노인층의 약물요법에 관련된 문제를 다룰 때는 만 70세 이상을 노인으로 본다.
노인으로 분류되는 65세 이상의 연령층은 1999년 미국의 경우, 총 인구의 12.7%만 해당되었으나 2030년에는 20% 이상인 7천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증가일로에 있는 새로운 노년층 그룹들이 더 나은 구강건강을 원한다는 사실 때문에 노인치료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가 나날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수요가 증가하는 노년층의 임플란트 시술이나 악골 재건술, 치조골 이식술 또는 고난도의 치주치료를 포함한 치과수술에 광범위하고도 심도 높은 국소 또는 전신마취제, 안정제나 진정제, 진경제, 항생제, 소염진통제, 소염효소제 등 다채로운 약물요법이 필수적으로 수반되게 되었다.
이러한 약물요법들은 노인약물학 분야에 대한 주의를 새롭게 했을 뿐만 아니라 노인에게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기준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미국노인학회(AGS; American Geriatrics Society)에서 2012년에 제정한 ‘Beer’s Criteria’에 의하면, ‘잠재적으로 노인에게 해로운 영향이 있는 부적절한 약물(PIMs;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들의 부작용발생 근거(evidence)가 속속 드러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약품들의 처방은 나날이 늘어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노인층의 80% 이상은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질환은 대개 증상이 모호하고 특징적이지 못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어렵게 한다. 따라서 노인환자에 투여되는 약제가 복합적인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약물요법상 이를 Polypharmacy라고 부른다.
Polypharmacy로 인한 약물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과의사는 먼저 노인환자에게 사용되는 약물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어야 하고, 부적절한 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약물들을 분리하여 투여하거나 약물의 용량을 줄여 부작용을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2000년과 2001년, 2년에 걸친 미국의 Medical expenditure panel 조사에 따르면 원래 노인에게 필요하지 않았던 부적절한 약물(PIMs; 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에 의해 야기되는 약물부작용을 치료하기 위해 추가된 치료비만 연간 약 72억 달러였는데 현재에는 매년 수백억 달러가 지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원래 필요없던 지출이 방대해진 이유는 약물의 부적절한 투여에 의한 각종 부작용들 매우 흔히 발생하며 이러한 부작용을 치료하기 위한 후속 처치비용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약물사용 전에 미리 조금만 주의를 기울인다면 충분히 예방 가능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정부의 정책이나 연구실, 임상현장 모두에서 노인들이 사용을 피하거나 용량조절을 해야 될 약물을 명시하여 리스트로 작성한 것이 PIMs다. 이렇게 위험약물 사용을 경감하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임상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임에 따라 PIMs는 CMS(Center for Medicare and Medicaid Services) 조항의 하나로써 현재 ‘미국 Medicare Part D’에 효율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지는 오는 6월부터 시작될 김영진 박사의 ‘노인환자의 치과수술시 주의사항과 안전한 약물요법’ 시리즈의 연재에 앞서 근래에 update된 ‘Beer’s기준’에 따른 PIMs(Potentially inappropriate medications)목록을 먼저 소개드리고자 한다.
The primary target audience is the practicing clinician. The intentions of the criteria are to improve the selection of prescription drugs by clinicians and patients; evaluate patterns of drug use within populations; educate clinicians and patients on proper drug usage; and evaluate health-outcome, quality of care, cost, and utilization data.
* Infrequently used drugs;
CNS=central nervous system; COX=cyclooxygenase; CrCl=creatinine clearance; GI=gastrointestinal; NSAID=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TCA=tricyclic antidepressant, Correction made after online publication February 29, 2012; Table 2 has been updated.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