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 정책교류 목말랐다…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 회원기관 360여곳 확보

2025-05-14

지난해 11월 서울시가 주축이 돼 출범한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가 출범 6개월 만에 회원기관 360여곳을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공공기관과 교육기관까지 대거 참여했다. 사이버보안 정책 공유와 지원에 대한 현장의 기대 수요가 반영됐다는 평가다.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에 따르면 14일 현재 서울시와 강원도, 경상북도, 제주시 등 15개 광역 지자체와 서울시 25개 자치구, 경기지역 21개 시군구를 포함해 전국 90개 기초지자체가 협의회에 가입했다.

이외에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조폐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전력거래소, 광역시교통공사, 광역시의료원 등 공공기관 255곳이 회원 등록을 마쳤다.

김완집 전국정보보호정책협의회장(서울시 정보보안과장)은 “출범 초기에는 지자체 현업 담당자 간 정보보호 정책 교류와 네트워크 구축에 초점을 맞췄지만, 공공기관과 교육기관에서도 이 같은 교류에 대한 갈증이 크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지자체, 공공의 정보보안은 곧 국가 안보와도 직결된다고 보기 때문에 서울시 차원에서도 많은 관심과 지원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전국 지자체와 중앙부처 간 정보보호 정책 공유 △사이버재난 대응을 위한 공동 협력 △지자체와 중앙부처·기업·대학 간 기술 교류 △지자체 공무원 정보보호 역량 강화 △국제 도시 및 유관기관 간 정책 교류 등 다양한 목표를 설정하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나아가 현장 정보보호 담당자의 전문성을 높이고, 정보보호 정책·예산·인력에 대한 실무 의견을 중앙정부에 건의하는 정책 창구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협의회는 14일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본격적 민관 협력 체계도 구축했다. 공공과 민간이 함께 정보보호 정책 및 기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전국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수준 향상은 물론 전문 인력 양성과 산업 활성화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공공기관의 정보보호 수준 제고를 위한 공동 행사 기획 및 운영 △정책 및 기술 동향 공유 △정보보호 교육·훈련 프로그램 마련 등 구체적 협력 과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 회장은 “그간 협의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정부 부처와의 협력을 중심으로 운영돼 왔지만, 이번 KISIA와의 협약은 처음으로 민간 산업계와 정식 협력을 맺은 사례”라며 “회원기관이 250곳을 넘어서면서 산업계와의 체계적인 정보 교류와 교육, 훈련 등이 가능해지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조영철 KISIA 회장은 “협회 차원에서도 전국을 돌며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 교육·훈련을 진행하고 있는데, 협의회와 협력을 통해 산·학·연·관 공동사업까지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실질적인 협력의 출발점이 마련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