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7/a90c6d51-a315-4b64-941d-f8390ac29a37.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 관세가 전면 실행되면 올해 말 미국 소비자물가를 2%포인트가량 더 끌어올릴 것이라는 추정이 나왔다. 이 경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물가 목표(2%)의 2배가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15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상호 관세 부과 결정을 재확인했다.
그는 특히 "우리는 관세보다 훨씬 더 가혹한 부가가치세(VAT) 시스템을 사용하는 나라들을 (대미) 관세를 가진 나라와 비슷하게 여길 것"이라고 썼다.
한국은 물론 유럽·일본 등 대부분 국가는 부가가치세 시스템을 갖고 있어, 미국의 거의 모든 무역 상대국이 해당한다.
미국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북미 지역 수석 이코노미스트 폴 애시워스는 투자자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상호)관세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에 다른 국가가 미국의 수출품에 부과하는 관세율뿐만 아니라 부가세도 포함될 것"이라고 봤다.''
미국 매체 USA투데이는 16일(현지시간), 애시워스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이 수입품에 부과하는 관세율은 평균 2.6%(무역 규모 가중치 기준)인 데 비해 대미 무역 규모 상위 15개국은 미국의 수출품에 대해 평균 6.7%의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보도했다.
그런데 여기에 부가가치세 효과까지 더한 상호 관세가 적용되면 미국에 수입되는 상품은 인도산의 경우 29%, 브라질산은 28%, 유럽연합(EU)산은 25%, 멕시코산은 23%, 캐나다산은 19%의 관세를 각각 물게 된다.
애시워스는 트럼프의 계획대로 이를 모두 관세의 형태로 반영하게 되면, 미국에 수입되는 상품의 평균 관세율이 지금의 3% 미만에서 약 20%로 오르게 될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영향이 올해 말 미국 소비자물가를 약 2%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해 12월 기준 미국의 대표적인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는 전년 대비 2.6% 상승했다. 현재 상태에서 관세가 모두 부가되면 올해 말 PCE 상승률이 4.6%에 달할 수 있다는 추정이다.
일부 전문가는 관세 인상분이 소비자 가격에 전부 전가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도이치뱅크 이코노미스트 저스틴 웨이드너는 미국의 수입 회사들이 관세 인상분의 절반가량을 흡수하고 나머지 절반을 소비자가격에 전가할 것이라는 게 가장 가능성 높은 시나리오라고 봤다. 이 경우 관세로 인한 추가 물가 상승 압력은 1%포인트가 된다.
그럼에도 미국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의 이코노미스트 게리 허프바우어는 상호 관세가 현실이 되면 "미국 경제에 커다란 충격이 될 것이며, 상당한 수준의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