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디지털정부 수출 교두보 '디지털정부협력센터' 추가 설립 검토

2025-08-27

정부가 디지털정부 수출을 위한 교두보인 디지털정부협력센터 추가 설립을 검토한다. 한국형 디지털정부 모델을 해외에 확산하고, 국내 기업의 해외 진출 기회를 넓히려는 목적이다.

디지털정부 주무 부처인 행정안전부는 디지털정부협력센터를 추가로 신설하기 위한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아 지역 1개국과 중동 또는 옛 소련권(CIS) 지역 1개국 등 총 2개국에서 신규 협력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이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오는 2027년 후보 지역을 선정해서 신규 센터 구축을 추진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협력 가능성이 높은 아프리카 3개국과 아시아 6개국, 중동 또는 CIS 권역 3개국, 중남미 3개국 등을 대상으로 디지털정부 수준과 정치·경제·사회 현황 등을 분석하고, 권역별 우선 순위를 결정한다. 이후 현지 조사를 토대로 타당성을 살피고, 후보 지역을 확정할 전망이다.

현재 우리나라가 운영 중인 디지털정부협력센터는 세르비아, 튀니지, 이집트, 캄보디아, 페루, 라오스,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등 8개국에 위치한다.

정부가 신규 거점을 추가 개설할 경우 전체 운영국가 수는 10곳으로 확대된다.

디지털정부협력센터는 협력국 정부와 공동 운영하는 플랫폼이다. 특정 기간 법제도 정비, 정보시스템 시범 구축, 공무원 역량 강화 같은 과제를 수행한다.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추진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동시에 한국 기업이 현지 디지털정부 사업에 참여하도록 지원해 해외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한다.

정부가 신규 센터 설립을 검토하는 것은 국제 수요 확대에 기인한다. 우리나라는 세계은행(WB) 거브테크(GovTech) 성숙도 평가에서 1위를 기록했고, UN 전자정부 발전지수에서도 4위를 차지했다. OECD 디지털정부 평가에서도 1위를 기록하는 등 국제 사회에서 선도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공공데이터 개방지수 역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연속 1위를 유지했다.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개도국들은 한국형 디지털정부 모델 도입을 요청하고 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50여개국과 디지털정부 협력 양해각서를 교환했다.

정부는 신규 거점을 마련해 협력 네트워크를 아시아와 중동·CIS 지역으로 넓히고, 현지 상황에 맞는 디지털 전환 정책을 지원할 방침이다.

특히 협력센터를 개도국의 행정 현대화와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동시에 뒷받침하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신규 센터가 설립되면 한국형 디지털정부의 국제적 영향력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