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진료 이용자 97% '만족'…남은 숙제는 '면책조항·약배송'

2025-11-10

비대면진료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가 9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본격 시행된 시범사업으로 비대면진료가 일상 의료의 한 축으로 자리잡았지만, 면책조항 부재와 약 수령 불편, 배송 제한 등 제도 정착을 가로막는 현장의 불안 요인은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리서치는 지난 9월 23일부터 10월 22일까지 비대면진료 경험자 1051명, 비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의사 151명, 비대면조제 경험이 있는 약사 279명을 대상으로 '비대면진료 정책 만족도 및 개선 의견'을 조사했다고 10일 밝혔다.

그 결과 비대면진료 이용자의 97.1%가 만족했다고 응답했으며, '매우 만족한다'는 비율도 61.7%에 달했다. 비대면진료로 삶의 질이 좋아졌다는 응답은 91.5%, 서비스 중단 시 불편할 것이라는 응답은 88.0%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비대면진료의 가장 큰 장점으로 시간 절약 효과(95.7%)를 꼽았다. '의료 접근성 개선'(94.5%), '대면진료 지연·포기 문제 해결'(93.5%) 등 실질적인 편익을 체감한 이들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비대면진료에 참여한 의사의 73.5%, 약사의 56.2%가 만족한다고 답했다. 향후 재참여 의향도 각각 92.7%, 82.4%로 높았다. 특히 의사 82.1%, 약사 68.5%로 의료진 대부분이 비대면진료가 의료 및 의약품 접근성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구조적 불안이 지적됐다. 의사들은 '면책조항 부재로 인한 불안'(54.3%), '환자 병력·복용약물 파악의 어려움'(52.3%), '잦은 제도 변경에 따른 혼선'(41.1%)을 주요 문제라고 봤다. 약사들은 '상품명 처방으로 인한 대체조제 제약'(40.9%), '처방전 인식 오류 및 팩스 전송 지연'(40.5%) 등 조제 현장의 불편을 호소했다. 또 법적 책임 명확화, 처방전 전송체계 개선 등 운영 인프라 정비가 시급한 과제로 꼽혔다.

환자들의 불만은 약 수령 과정에 집중됐다. 응답자의 66.0%는 '약국에 직접 전화해 조제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해 불편하다'고 답했다. '약국까지 이동하고 대기하는 것이 부담된다'(55.6%), '처방약이 없어 조제를 받지 못했다'(54.3%)는 응답도 절반을 넘었다.

비대면진료 제도화 방향을 두고 이해관계자 간 의견은 엇갈렸다. '대면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에서만 비대면진료를 허용'하는 방안에는 환자 61.1%, 의사 67.5%가 반대했다. 반면 '비대면진료는 의원급을 원칙으로 한다'는 제한에는 의사 84.8%, 약사 65.6%가 찬성했다.

향후 제도 보완 방향에 대한 우선순위도 달랐다. 환자는 진료과목 확대(39.0%), 의약품 배송 허용(37.7%)을 꼽았다. 의사는 의료사고 책임·보상 기준 마련(44.4%), 비대면진료 수가 현실화(43.0%)를, 약사는 성분명 처방 허용(64.9%), 대형약국 쏠림 방지(47.0%)라고 봤다. 추가 규제 방향을 두고도 환자와 의사는 '현행 유지 또는 더 자유로운 운영'을 선호했지만, 약사는 추가 규제에 찬성하는 의견이 다수였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