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독일 경찰과 딥페이크 판별 시스템 개발 착수

2025-05-26

한·독 과학치안 국제공동연구 첫 사례...2027년까지 진행

[서울=뉴스핌] 박우진 기자 = 경찰청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경찰과 딥페이크 등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여부 판별 시스템 개발에 착수한다고 26일 밝혔다.

경찰청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어울림마당에서 '허위조작 콘텐츠 진위여부 판별 시스템 개발' 착수보고회를 열었다.

보고회에는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과 최귀원 과학치안진흥센터(KIPoT) 소장이 참석했다. 연구 컨소시엄의 정수환 숭실대 교수(연구책임자)와 우사이먼성일 성균관대 교수, 토비아스 마이젠 독일 부퍼탈 대학 교수가 분야별 연구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독 과학치안 국제공동연구의 첫 사례다.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은 2023년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내무부 범죄수사국과 공동의향합의서(JDoI)를 체결했다.

지난해에는 한-독 과학치안 협력센터를 열고 경찰관을 파견해 과학치안 분야에서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시스템 개발은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이 대중화되면서 증가하고 있는 조작된 가짜 콘텐츠를 탐지하기 위한 데이터셋 구축과 통합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2027년까지 3년간 진행된다.

올해 초 공모와 평가절차를 거쳐 숭실대(주관연구기관), 성균관대와 연세대, 한컴위드가 참여하는 연합체를 국내 연구기관으로 선정했다.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범죄수사청의 추천을 받아 현장실사와 선정평가를 거쳐 부퍼탈 대학을 공동 연구기관으로 지정했다.

올해는 인공지능 조작영상(딥페이크), 딥보이스, 가짜뉴스 탐지용 데이터셋 구축과 탐지모델 고도화를 추진한다. 내년에는 머신러닝 모델 개발부터 배포·운영까지 과정을 자동화해 관리하는 시스템 기반 통합 탐지시스템의 성능 고도화와 실증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최주원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은 "국가 간 연구개발의 단순 협력을 넘어 양국의 과학치안 역량을 결집해 미래치안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하고 향후 다른 국가로 확대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딘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이번 연구가 다양성에 기반한 데이터셋과 공정한 알고리즘을 통해 허위조작 콘텐츠 문제의 해법을 제시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krawjp@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