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월경장애가 심한 여성일수록 우울 증상이 높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러한 경향은 10대 청소년 여성에서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월경장애를 경험한 여성에서 우울 증상을 겪는 비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17일 공개했다. 월경장애는 여성에게 가장 흔한 부인과 질환으로 신체적 통증과 활동 제한 등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여성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과다월경, 과소월경 등), 무월경 등을 말한다.
국립보건연구원은 2022년에 실시한 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성ㆍ생식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해 우리나라 13~55세 여성 3088명의 월경장애와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대상자의 91%가 월경장애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증 월경장애 경험 여성도 전체의 57%에 달했다.
월경통, 월경전증후군, 비정상 자궁출혈 증상이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을 경험한 여성에서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각각 1.6배, 2.0배, 1.4배 높았다. 경험한 중증 월경장애 수가 많을수록 높은 우울감을 겪는 비율이 증가했는데, 이러한 연관성은 특히 청소년기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중증 월경장애가 없는 여성에 비해 중증 증상이 1개~3개로 증가할수록 높은 우울감이 각각 1.6배, 2.0배, 2.1배 높았으며, 청소년기에서는 중증 월경장애를 1개만 경험해도 1.8배 높았고, 3개일 경우 약 2.8배로 성인 여성의 1.9배보다 높았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월경관련 증상을 단순한 생리적 불편이 아니라 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건강문제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라며 “국립보건연구원 여성건강연구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여성의 성ㆍ생식건강 현황과 주요 건강 이슈를 파악하기 위한 전국 단위 조사를 지속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