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동물실험 폐지를 발표한 이후 다수의 글로벌 임상시험수탁기관(CRO)과 위탁개발생산기업(CDMO)으로부터 파트너십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김용태(사진) 멥스젠 대표는 27일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미국과 유럽에서 단계적 동물실험 폐지가 추진되면서 동물대체시험 기술에 대한 글로벌 관심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며 "올해 매출은 이미 작년 대비 300% 이상 성장해 본격적인 시장 확장을 체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멥스젠은 세계 최초로 3차원 생체조직칩 플랫폼 'MEPS-X 시리즈'를 개발한 기업이다. 인체 장기의 혈류·산소 농도 등 물리적·생리적 환경을 손톱 크기의 플라스틱 칩에 3D 세포 배양 기술로 재현하는 기술이다. 김 대표는 "기존 오가노이드(인공장기) 대비 균일하고 대량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라며 "반도체를 대량 생산하는 기술이 접목돼 있어 표준화와 상업화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에는 기계공학을 전공한 공학도 출신의 김 대표의 경험이 녹아있다.
오가노이드 생산의 핵심은 인체 장기와 유사한 고품질의 장기 모델을 대량으로 균일 배양하는 것이다. 멥스젠은 장기조직 모델링의 전 과정을 자동화한 'ProMEPS'로 이를 구현했다. 김 대표는 "세포 주입, 세포 배양, 관류 형성 등 생체조직 장벽 생산의 전 과정을 자동화 시스템으로 구축해 연구자의 숙련도에 따른 변동성과 오류를 줄일 수 있다"며 "생체조직 모델링을 자동화 기술로 표준화함으로써 세포 배양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생체 기반 데이터인 만큼 기존 동물실험 보다 더 효율적인 신약 개발이 가능하다는 게 김 대표의 생긱이다. 그는 "난치병 등 일부 질환은 동물실험에서 효과가 있어도 인간에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다"며 "생체조직칩 기반 데이터는 임상 전 단계에서 실패 확률을 줄이고 임상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과거에는 동물실험으로 독성 평가만 했다면 최근 이중항체·약물 항체 접합체(ADC) 등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약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등 약물의 효능을 평가할 수 있는 약물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멥스젠의 대표 모델인 뇌혈관장벽 모델(MEPS-BBB)이 대표적이다. 동물실험으로는 분석이 어려운 시간, 농도, 수용체 결합 양상 등 다양한 변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어 약물의 투과 경로와 메커니즘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김 대표는 "내년 4월 기술예심을 제출할 계획"이라며 "내년 하반기에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매출 500% 껑충…'글로벌 백신리더' 도약[스타즈IR]](https://newsimg.sedaily.com/2025/10/26/2GZBVDMQH5_2.png)




![[Tech 스토리] '먹는 비만약' 시대 임박…플랫폼·제형 기술이 승부처](https://img.newspim.com/news/2025/10/20/2510201729294780.jpg)
![['제조AX(M.AX)' 골든타임을 잡아라]〈4〉휴머노이드, '데모' 넘어 라인 선다…야간·교대·반복공정 첫 격전지](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6/news-p.v1.20251026.89bd1732c4f6448ea7f49c607acaac12_P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