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주 30시간 근무’ 기업 찾아 “노동집약적 생산 시대 바뀌었다…시대변화 읽어야”

2025-02-07

김동연 경기지사가 주 30시간 일하는 스타트업 기업을 찾아 “과거 노동집약적으로 근로시간을 길게 해 생산성을 높이던 시대가 있지만 시대가 바뀌었다. 시대변화를 잘 읽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경기 성남시 판교창업에 입주한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인 ‘브레인벤쳐스’를 찾아 이같이 말했다. 브레인벤쳐스는 장시간 노동이 일상화된 한국 기업 문화에서 벗어나 노동시간을 크게 줄인 회사다.

이 회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오전 10시에 출근해 오후 4시 전후로 퇴근한다. 하루 6시간만 일하는 셈이다. 주 5일 근무 중 화요일과 금요일 이틀은 재택근무다.

재택근무를 일상화하고 주 30시간만 일하지만, 이 기업의 직원 연봉은 업계 평균보다 높다. 또 2020년 설립 이후 기업의 매출 역시 계속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매출이 25% 상승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이날 김원회 브레인벤쳐스 대표를 포함한 기업 관계자 6명과 대화를 나누며 노동시간 단축이 기업과 직원에게 어떤 효과를 미쳤는지를 들었다.

김 대표는 “늦게까지 남아 있는 게 (회사에 대한)신뢰의 지표가 아니다”면서 “오전 10시~오후 2시의 ‘코어타임’에 같이 모여서 일하면 된다는 생각”이라고 했다.

이 회사 직원들은 “퇴근 피로도가 줄어들면서 인재유치에도 상당히 좋다”면서 “근무시간은 줄어도 생산성은 올라가더라. 우리회사 매출이 보여준다”고 했다. “다른 회사에 있을 땐 상상할 수 없던 제도인데, 지금 회사를 다니면서 결혼도 하게 됐다. 저출생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는 말도 나왔다.

김 지사는 이에 “생산요소라고 하면 노동, 자본, 땅을 말하는데 이제는 노동에서 양보다는 질이 중요해졌다”면서 “노동의 질은, 애사심, 충성심, 통제가 아닌 동기부여 등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에서 실시하고 있는 주 4.5일제 기업 지원제도를 언급하면서 “일과 삶의 양립(워라밸)이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이런 문화는) 기업의 생산성 뿐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 지사는 앞서 페이스북을 통해서도 장시간 노동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김 지사는 반도체 산업에 대해 주 52시간제 적용을 예외해야 한다는 정치권의 주장에 대해 “인공지능(AI) 기술 진보 시대에 노동시간을 늘리는 것이 반도체 경쟁력 확보의 본질이냐”면서 “시대를 잘못 읽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