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와 손잡고 국내 최초 배터리 안전·성능 실증도시 구축

AI 기반 배터리 데이터 플랫폼 전문기업 ㈜피엠그로우는 부산시티호텔에서 ‘한국형 디지털 제품 여권(Digital Product Passport, DPP) 플랫폼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2027년 시행 예정인 EU 배터리 규제(EU Battery Regulation)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형 DPP 플랫폼 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부산시 관계기관을 비롯해 공공기관, 운수회사, 배터리 및 전기차 관련 기업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EU는 2027년부터 모든 전기차 및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에 디지털 제품 여권 도입을 의무화할 예정이다. 해당 제도는 배터리의 원재료, 탄소배출량, 성능, 수명, 재활용 가능성 등 핵심 정보를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데이터로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는 제조사뿐 아니라 수입, 운행, 재활용 주체까지 포함하는 전주기 데이터 공유 체계를 요구한다.
피엠그로우는 이러한 글로벌 정책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 DPP 플랫폼을 자체 개발했다.
박재홍 대표는 “EU DPP는 단순한 규제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 순환경제로의 전환 신호”라며 “부산의 산업 인프라와 피엠그로우의 AI 기술을 결합한 배터리 여권 플랫폼으로 안전성과 수출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겠다”고 밝혔다.

설명회에서는 AI 기반 배터리 안전·성능 진단 기술과 BaaS(Battery-as-a-Service) 구조를 소개하며, EU DPP 정책에 대응 가능한 기술적 기반을 제시했다. 또한 삼성SDI, SK렌터카, 티머니모빌리티, 부산도시공사, 포항시 등과의 협력 사례를 공유하고, 향후 배터리 여권 플랫폼이 중고차 거래, 보험, 충전, 정비, 재활용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 확대될 전망을 내놨다.
피엠그로우는 이번 설명회를 계기로 ‘국내 배터리 여권 플랫폼 선도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EU·동남아·북미 시장의 DPP 인증체계와 연동해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플랫폼 수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는 부산을 중심으로 한 배터리 안전·성능 실증 계획도 발표됐다. 피엠그로우는 부산시와 협력해 전기차 배터리의 온도 이상 감지 및 화재 예방, 성능저하(SOH) 데이터 표준화, AI 기반 실시간 안전관리 기술을 단계적으로 실증할 예정이다. 실증이 완료되면 부산은 국내 최초의 ‘배터리 안전·성능 데이터 실증도시’로 도약할 전망이다.
㈜피엠그로우는 2010년 설립된 AI 데이터 기반 배터리 순환경제 전문기업으로, 배터리팩 제조를 비롯해 배터리 안전 서비스 ‘와트세이프(WattSafe)’, 성능 인증 서비스 ‘와트에버(WattEver)’, 통합 플랫폼 ‘와트플러스(Watt+)’를 운영 중이다.
현재 국내 43개 차종, 누적 1억 8천만km 이상의 배터리 운행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국내 최초 민간 배터리 안전성 검사기관으로 지정받았다. 회사는 AI 기반 진단 기술과 방대한 데이터 자산을 바탕으로 국내외 DPP 표준 시장을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매일신문] 이승훈기자
leeshoon@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글로벌 에너지 혁신기술 한자리에…한전 'BIXPO 2025' 개최](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58O6R6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