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PF 메스 든 금감원 "각 업권 잔여부실 1조원대, 연착륙 기대"

2025-05-22

[미디어펜=류준현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권 전반에 퍼진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를 구조조정한 지 갓 1년을 앞두고 있다. 지난해 6월부터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외과적 수술을 주도한 금감원은 "24조원에 달했던 부실PF 규모가 오는 6월 절반 이상 정리될 것"이라며 '질서있는 연착륙'을 기대했다. 각 업권 잔여부실이 1조원 내외로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계산인데, 금감원은 마지막까지 개별 금융사 현장점검 및 충당금 추가적립을 유도해 건전성 강화조치를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22일 오전 본원 브리핑실에서 '전 금융권 부동산PF 정리·재구조화 경과 및 그간의 실적'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날 발표를 맡은 한구 금감원 중소금융 부원장보는 "하반기부터 대부분의 금융업권별 부실 PF가 1조원 내외까지 감소해 안정적으로 관리 가능한 범위 안에 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향후 현장 점검 및 충당금 추가 적립 등 건전성 감독을 강화함으로써 추가적인 부실을 방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잠재적 부실PF 24조, 1년새 12조대로

부동산 PF는 지난 2022년 3고(금리상승, 고물가, 고환율) 등 대내외 여건 악화에 따른 미분양 증가, 원가상승, 분양률 하락 등에 직면하면서 부실화가 본격화됐다. 여기에 지난 2022년 9월 레고랜드 사태, 2023년 말 태영건설 사태 등을 연이어 맞이하면서 부실이 더욱 가중됐다.

금감원 자료에 따르면 PF 익스포져(PF대출+토지담보대출+채무보증 익스포져) 규모는 매분기 감소해 지난해 말 202조 3000억원을 기록했다. 은행이 48조 7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상호금융 등 46조 1000억원(새마을금고 PF 포함) △보험사 38조 2000억원 △증권사 31조 3000억원 △여전사 24조 1000억원 △저축은행 13조 9000억원 순으로 집계됐다.

이 중 부실PF(유의·부실우려 사업장) 규모는 총 23조 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상호금융 등이 11조 6000억원으로 가장 많고, △저축은행 4조 5000억원 △증권사 3조 8000억원 △여전사 2조 8000억원 △보험사 8000억원 △은행 4000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특히 계속되는 고금리 여파로 금융업권 PF대출 연체율도 폭등했다. 2021년 말 0.37%에 불과했던 연체율은 이듬해 1.19%, 2023년 말 2.70%를 마크했고, 지난해 6월에는 3.56%까지 치솟았다.

이에 당국은 지난해 5월 '신 사업성 평가기준'을 마련해 6월부터 부실사업장을 선별하고 정리·재구조화에 착수했다. 8월에는 금융권 경공매 기준을 새로 마련하고, 경공매 등을 통해 3개월 이상 연체 또는 부실우려 PF대출을 우선 정리·재구조화하도록 유도했다. 이 외에도 정보공개 플랫폼 구축, 합동매각설명회 개최 등의 조치를 취했다.

당국과 업계가 지난 1년 간 건전성 회복에 집중함에 따라, 금융권은 올해 3월 말까지 9조 1000억원(정리 6조 5000억원, 재구조화 2조 6000억원)의 부실을 털어냈다. 여기에 금융권은 오는 6월까지 3조 5000억원(정리 2조 7000억원, 재구조화 8000억원)의 부실을 추가 정리할 예정이다. 정리·재구조화 규모만 총 12조 6000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전체 부실의 약 52.7%에 달하는 액수다. 금감원은 이 같은 정리·재구조화가 단행되면 PF대출 고정이하여신(NPL)비율과 연체율이 각각 5.5%포인트(p) 4.1%p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권별 잔여부실 1조원 내외…질서있는 연착륙 기대

당국은 6월 말 예상 잔여부실이 총 11조 3000억원까지 내려올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업권별 잔여부실이 대부분 1조원 내외로 감소할 것이라는 계산인데, △상호금융 등 6조 7000억원 △증권사 1조 9000억원 △여전사 1조 3000억원 △저축은행 9000억원 △보험사 5000억원 △은행 1000억원 등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에 당국은 리스크를 상당 부분 해소한 만큼 부동산PF의 질서있는 연착륙도 기대하고 있다.

한 부원장보는 "금융당국은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에 따른 추가부실 발생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앞으로도 부실 정리·재구조화를 상시적으로 추진해 부실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리해 나갈 것"이라며 "부실정리가 미진한 개별 금융회사에 대해 현장점검 및 충당금 추가적립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향후 현장검사 등을 통해 PF대출 취급 과정상 미비점이 확인되는 경우 즉시 보완하도록 하고 이를 업권에 공유해 건전성 관리 및 여신심사 수준이 전반적으로 상향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당국은 그동안 급격한 구조조정으로 시장의 반발을 의식한 듯 부동산PF 대출을 부정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한 부원장보는 "부실 정리를 하는 근본적인 목적은 부실 자산을 떼내고 좋은 우량 자산으로 갈아끼우는 것"이라며 "부실정리가 완료된 저축은행이나 금융사들은 새로운 우량한 PF 자산을 담는 게 맞다는 입장을 수차례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건전성 지표 개선을 전제로 정상 우량 사업장에 신규 PF 대출을 적극 취급해 자금 공급 기능을 회복하고, 저축은행은 중·저신용자 대출을 늘려서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하기를 바란다"고 부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