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파리협정 탈퇴 등으로 글로벌 기후정책의 불확실성이 커졌지만,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은 “탄소중립이 기업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서 여전히 탄소중립 요구가 강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펴낸 ‘국내 기업의 탄소중립 대응 실태와 정책과제’ 보고서에서 “국내 탄소 배출량 상위 1000개 기업의 69.6%가 탄소중립 대응이 ‘자사의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이 조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뒤인 지난 2월부터 국내 탄소 배출량 상위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두 달간 진행됐고 400곳이 응답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 3년과 비교했을 때도 가장 높은 수치다. 국내 탄소 배출량 상위 1000대 기업 중 ‘탄소중립 대응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이라고 답한 기업은 2022년 34.8%, 2023년 68.8%, 2024년 60.3%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91%는 앞으로도 공급망 전반의 탄소 규제가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고객사로부터 탄소중립을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고객사로부터 받은 요구 사항(복수응답)으로는 탄소 배출량 정보 제출(84%), 탄소 감축 이행(58%), 탄소 배출량 산정과 감축 요구(43%), 재생에너지 사용(37%) 등이 있었다.
보고서는 기업의 85%가량이 탄소중립을 위한 투자 위험이 크다고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탄소중립 제도와 인프라 부실로 기업이 들여야 하는 비용과 시간이 크지만, 일반 제품과 비교했을 때 같은 시장 내 탄소중립 제품·서비스의 가격 경쟁력은 떨어진다는 것이다.
대한상의는 정부의 탈탄소 기업 지원 및 저탄소 제품의 공공조달 확대 등을 골자로 하는 5대 정책과제를 제안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내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규제 대응을 넘어 국제 경쟁력 확보의 핵심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며 “정부는 기업이 탄소중립에 투자할 수 있도록 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시장 형성 등을 적극 지원해 위험을 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