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기사는 10월 31일 오전 10시4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AI 번역에 기반해 생산된 콘텐츠로, 10월 30일자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기사를 인용하였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10월 30일 저녁 중국 대표 전기차 제조사인 비야디(比亞迪∙BYD 002594.SZ/1211.HK)와 세레스(賽力斯∙SERES 새력사집단 601127.SH)가 3분기 실적 보고서를 공개했다.
비야디의 3개 분기(1~3분기) 영업수익(매출)은 5662억7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5% 증가했고, 순이익은 233억3000만 위안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55% 줄었다. 3분기 단일 분기 매출은 1949억8500만 위안, 순이익은 78억2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05%와 32.6% 하락했다.
실적 성장 둔화의 배경은 △업계 경쟁 심화 △원가 비용 압박 △연구개발비 투입 확대 등의 세 가지로 압축된다.
올해 3개 분기 비야디의 연구개발 비용은 437억50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 급증했다. 이는 3개 분기 순이익(233억3000만 위안) 규모를 크게 상회하는 동시에, 테슬라보다 109억 위안 더 많은 수준이다. 현재까지 비야디의 누적 연구개발 투자액은 2200억 위안을 넘어섰다.
올해 1~9월 비야디의 글로벌 누적 판매량은 326만 대를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18.64% 성장했으며, 연간 목표치 460만 대의 70.87%를 달성했다. 비야디는 여전히 글로벌 신에너지차 판매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세레스의 3개 분기 매출과 순이익은 1105억3400만 위안과 53억1200만 위안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3.67%와 31.56% 증가했다.
올해 1~9월 세레스의 신에너지차 누적 판매량은 30만4629대에 달했다. 그 중 원제(問界∙AITO) 브랜드 전기차 판매량이 27만6203대를 차지했다. 원제M9과 원제M8 모델은 중국 내 판매가 50만 위안 대와 40만 위안 대 전기차 판매량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다.
올해 들어 세레스는 제품 라인업을 빠르게 확장했다. 신형 '원제 M5 Ultra', '원제 M9 2025년형', 가족 고객층을 겨냥한 '원제 M8'과 '신형 원제 M7' 등 다양한 모델을 잇달아 출시했다.
세레스 또한 '소프트웨어가 차량을 정의한다'는 기술 전략을 내걸고 확고히 하며 혁신 주도의 고강도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세레스는 홍콩증시 상장을 통해 글로벌화 경쟁력 확장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10월 27일 세레스는 홍콩증시 공모를 시작했으며, 11월 5일 홍콩거래소 메인보드에 상장할 예정이다. 홍콩증시 상장이 완료될 경우 홍콩증시에 'A+H(중국본토와 홍콩증시 동시 상장)' 럭셔리 신에너지차 1호주가 탄생하게 된다.
이번 홍콩증시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연구개발, 다각화된 신규 마케팅 채널, 해외 판매 및 충전 네트워크 서비스에 투입돼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데 사용될 계획이다.
pxx17@newspim.com





![빅테크 3사 호실적 속… 구글 웃고 MS·메타 울었다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https://newsimg.sedaily.com/2025/10/30/2GZDNAL8HL_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