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각각' 디지털트윈 포맷 통일…표준 가이드라인 만든다

2025-05-06

정부가 디지털트윈 국토 구현의 핵심 기반인 공간정보 통합관리체계를 마련한다. 부처·기관별로 제각각 구축됐던 건물, 주소, 도로 등 기초 데이터를 통일된 기준으로 정비하고 연계해 행정 효율과 민간 활용도를 동시에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국토지리정보원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건축공간연구원 등 공간 데이터 관련 유관 기관들과 함께 'K-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셋' 구축 전략 수립에 나선다고 6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셋은 자율주행차, 로봇, 인공지능(AI) 등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국토지도 체계를 기반으로 정책 활용부터 민간 서비스 확장까지 고려한 데이터 플랫폼이다.

데이터 구조는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도로와 경계 △건물 내부 구조와 POI(Point of Interest) 등 장소 정보 △시계열 변화 정보를 반영한 시뮬레이션 축으로 구성된다. 고정밀 전자지도, 실내지도, 정밀도로지도, 영상데이터 등을 연계하는 통합 구조로 설계됐으며 현재는 적용 방안을 검토 중이다.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셋은 공간정보의 실시간 처리와 정합성 확보,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커진 것이 배경이 됐다. 특히 자율주행차, 로봇 등 신기술 기반 서비스가 현실 공간을 정확히 인식하고 작동하려면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국토정보 구조가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최근 디지털플랫폼 기반 행정 전환과 초정밀 행정 수요가 확대되면서 정부와 기관 사이에서도 데이터셋 통합과 기준 정비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통일된 디지털 트윈국토 데이터의 규격을 유지하기 위한 기반 기술도 함께 마련될 예정이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의미 기반 공간데이터 검색·연계와 AI를 활용한 품질 오류 자동 탐지·보정 기술을 연구 중이다. 해당 기술은 개인화 서비스, 맥락 인식 검색, 그래프 신경망(GNN) 기반 실시간 추천 등으로 확장할 수 있다.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UFID(지형지물 전자식별자), PNU(필지 고유번호), 도로명주소코드 등 제각기 운영되는 공간 식별 체계를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유통과 연계를 용이하게 하고, 행정·산업 현장의 실무 활용도를 높인다는 취지다.

건축공간연구원은 건축물대장과 도로명주소 간의 상세주소(동·층·호) 정보를 AI 기반으로 연계하는 기술 적용을 검토 중이다. 인허가 시스템 '세움터' 도면에서 층·호 정보를 자동 추출해 주소정보기본도와 연동하는 방식으로 위치 정확도 제고와 행정 서비스 고도화를 함께 도모한다.

정부는 현재 관계기관과 실무 협의를 바탕으로 기술·제도적 연계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유관기관과 전문가가 참여한 워크숍을 진행하기도 했다. 워크샵 참석자들은 공간정보를 '공통 언어'로 묶는 작업이 디지털 전환의 출발점이라는데 목소리를 함께 했다.

김창우 국토지리정보원 사무관은 “디지털트윈이 실효성 있게 작동하려면 정보가 제각각이 아닌, 함께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며 “기계와 사람 모두가 활용할 수 있는 정밀하고 일관된 국토 데이터 기준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