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부실 차수공사’ 의혹…하루 평균 1626t지하수 누출

2025-04-15

타 구간 배출량보다 4배 많아

시공사 정상적 조치 규명 필요

대형 지반침하 사고들 원인

토사 특성 간과해 위험 증가

광명 신안산선 공사 현장에서 이례적으로 많은 양의 지하수가 흘러나온 것으로 확인되면서 지반침하 유발 가능성이 큰 지하수 누출을 길어진 공사기간과 상승한 공사비용 문제로 방치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현 지하안전평가가 ‘지하수’의 영향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워 평가 방식을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5일 건설업계와 학계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면, 최근 연이어서 일어난 대형 지반침하 사고에서 ‘물’은 원인과 책임을 규명할 핵심 요소로 지목된다. 땅을 파는 공사를 진행하면서 상·하수도관이 파손돼 물이 새거나 지하수 흐름이 교란되는 경우 지반침하로 이어지기 쉽기 때문이다.

박용갑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신안산선 복선전철(본선 1구간) 사후환경영향조사 결과 통보서’를 보면, 사고가 일어난 공사현장에서는 지난해 4분기 하루 평균 1626t의 지하수를 퍼내며 작업했다. 같은 기간 다른 구간 공사 현장의 최대 4배에 이르는 규모다. 지난해 1분기 일평균 지하수 배출량은 946t이었으나 점차 늘며 4분기에는 1600t을 넘어섰다.

설계도면을 보면 붕괴 지점 주변 지표면의 3m 아래에 지하수가 흐른다. 지하터널 상부에서 다량의 지하수가 모래질 토양을 쓸어내 터널 붕괴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 사업은 2019년 환경영향평가에서도 “대규모 지하수 유출에 따른 지반침하 등 구조물의 안정성 문제와 인근 지하수 시설에 대한 영향이 우려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시공사가 지하수 누출에 제대로 된 조치를 취했는지 규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찬우 한국건설사회환경학회 회장은 “비정상적 규모로 지하수가 쏟아져 나온 것으로 보아 비용 문제로 ‘차수 공사’를 안 한 게 아닌지 의심된다”고 말했다. ‘빨리빨리’ 공사를 진행하려다 사고로 이어졌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신안산선 공사가 진행되는 2020년부터 5년간 건설 공사비는 약 32% 상승했다. 당초 올해 4월 개통 예정이던 신안산선은 개통 1년을 앞둔 지난해 5월 공정률이 39.4%에 머물러 국토부와 사업시행자인 넥스트레인이 협의해 공사 기간을 20개월 연장했다.

내년 12월 개통을 목표로 하는 상황에서 신안산선 전체 구간 공정률은 현재 55% 수준이다.

기존 지하안전영향평가 방식으로는 지하수 등에 따른 지반침하 위험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는 부분도 문제다. 지반침하 위험을 추정할 때 물의 영향에 따라 유실되기 쉬운 ‘토사의 특성’을 반영하는 게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는 토사를 ‘콘크리트’ 같은 하나의 덩어리로 보는 방식이다. 위험이 과소추정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지반침하의 위험성을 정확하게 평가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암질 취약성을 정확히 반영하는 방식으로 지하안전영향평가를 개선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