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넘긴 초고령 하수관도 30% 달해
서울시, 매년 복구작업 벌이지만 예산 한계

서울에 매설된 하수관로의 30%가 50년을 넘긴 초고령 하수관인 것으로 확인됐다. 하수관은 경과년수 30년을 넘기면 노후 하수관으로 분류한다. 즉 교체가 시급한 상황이란 얘기다.
특히 종로와 용산, 성북, 영등포구 등의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로 비중은 절반 가까이 됐다.
15일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2월 기준 서울 하수관로 총연장 1만866㎞ 중 5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3300㎞(30.4%)로 집계됐다.
이중 30년을 넘긴 하수관로는 6028㎞로 전체의 55.5%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종로구의 50년 이상된 하수관 비중은 53.5%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용산구(48.5%), 성북구(47.7%), 영등포구(45.7%), 마포구(45.4%), 구로구(43.5%), 성동구(42.2%) 순으로 노후도가 심각한 상태로 집계됐다.
노후 하수관은 땅꺼짐(싱크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싱크홀은 하수관에서 발생한 틈 사이로 새어나온 물이 주변 흙을 쓸어가면서 빈공간이 생기고, 하부의 흙이 사라지면서 콘크리트나 시멘트로 고정한 상부가 특정 시점에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꺼져버리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전국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총 867건 중 45.4%인 394건이 하수관 손상에 따른 땅꺼짐이었다.
서울시는 싱크홀 예방을 위해 GPR(지표투과레이더) 장비를 활용한 지하 공동(空洞) 탐사를 벌이며 복구작업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문제는 급격한 노후도 대비 복구예산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매년 약 2000억원을 들여 노후 하수관로 정비사업을 실시하고 있지만 노후도를 따라잡기는 역부족이다. 서울시는 하수도 특별회계 예산 외에 재난관리기금 등을 활용해 교체 속도를 높이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