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월가의 '트럼프 對EU·멕시코 관세' 시각…"협상용" vs "새 기준선"

2025-07-13

"8월1일까지 아직 3주, 협상 여지"

"트럼프 1기때도 동일한 패턴 목도"

"30% 시장 예상 웃도는 서프라이즈"

"30%가 새 기준선, 시장은 10% 상정"

이 기사는 7월 14일 오전 08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주말 사이 발표한 유럽연합(EU)과 멕시코 수입품에 대한 30%의 관세율(8월1일 시행)을 둘러싸고 전문가들의 의견은 '협상 전술'이라는 시각과 '실질적 위험'이라는 경계감으로 나뉘고 있다.

다음은 지난 12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련 발표 직후 로이터통신 기사에 공개된 전문가들의 코멘트를 종합·정리한 것이다.

◆"협상 전술"

페퍼스톤의 마이클 브라운 수석 마켓 전략가는 트럼프 행정부의 조치를 협상용 카드로 해석했다.

그는 "8월1일까지 아직 3주가 남았는데 아직 매우 긴 시간"이라며 "상대방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 더 많은 양보를 받아내려는 이른바 '확전을 통한 긴장완화책'의 일환'이라고 분석했다.

브라운 전략가는 EU에 대한 관세가 당초 트럼프 행정부가 위협했던 50%보다는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브라운 전략가는 "대EU 관세율과 관련해서는 며칠 전 트럼프의 위협이 50%였다는 점을 생각할 수 있다"며 "다만 EU가 이를 좋지 않게 받아들여 '좋다, 우리도 대응조치를 취하겠다'고 나선다면 상황이 다시 악화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BCA리서치의 마티유 사바리 유럽 수석 전략가는 30%의 관세가 트럼프 대통령의 일관된 협상 패턴의 일환이라고 했다.

그는 "트럼프의 전략은 터무니없는 요구를 한 다음 이를 낮춰 다시 막판 양보를 얻기 위해 한 번 더 밀어붙인 다음 무역협정을 성사시키는 것"이라며 "트럼프 1기 대통령 시절부터 있었던 틀이고 이게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사바리 전략가는 유럽이 결국 10%의 관세를 받아들일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지금 오가는 말은 중요하지 않다"며 "어디서 합의할지가 중요한데 유럽이 결국 10% 관세 수용을 체념하게 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또 이는 유럽이 실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했다.

◆"실질적 위험"

코페이의 칼 샤모타 수석 마켓 전략가는 30% 관세율이 금융시장 예상을 웃돈 수준이라고 했다. 그는 "30%의 조치는 예상을 넘어선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이어 아시아 거래 시간 대에서 유로화와 멕시코 페소화 매도 압력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했다. 샤모타 전략가는 "높은 관세율은 미국 자체에 큰 위협이 되지만 유로화와 페소화가 새로운 매도 압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샤모타 전략가는 이어 "머지 않아 트럼프의 보호주의 의제가 외환이나 다른 자산 가격, 변동성 지표에서 적절하게 할인되지 않았다는 점이 분명해질 것"이라며 "금융시장이나 백악관에서 '항복의 순간'이 다가오고 있다"고 했다.

니버트파이낸셜의 마크 말렉 최고투자책임자(CIO)는 30%가 트럼프 행정부의 새로운 관세 기준선이 된 모양새라고 했다.

그는 "발송된 22개 또는 23개 서한을 보면 30%가 현재 전반적인 제안된 평균 수치인데 이는 금융시장이 기준선으로 받아들여온 10%보다 상당히 높다"고 지적했다.

말렉 CIO는 이런 높은 관세율이 지속되면 미국 경제에 심각한 영향이 가해진다고 했다. 그는 "미국은 고급차부터 산업용 화학제품까지 모든 것을 수입하는데 이런 높은 관세율이 유지된다면 EU와의 무역관계는 물론 미국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그는 또 "금융시장은 무역협상이 타결될 것이라는 가정 속에서 강세를 보여왔는데 어떤 식으로든 실질적인 결과를 얻지 못한다면 그 안도감은 역풍으로 바뀔 것"이라고 염려했다.

CFRA의 샘 스토벌 마켓 전략가는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투자자들이 지켜보는 자세를 취할 것"이라며 "결국 시장은 확실성에 반응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주식시장의 상승세가 관세의 실제 경제 타격이 구체적 수치로 드러날 때까지 지속할 것으로 보면서도 부정적 경제지표가 나타나면 그떄부터 반응이 본격화할 것으로 봤다.

bernard02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