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이 새만금 마지막 갯벌을 위협한다”…사이언스지에 실린 호소

2025-02-21

신공항 계획이 새만금 마지막 갯벌을 위협한다는 내용의 서신이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사이언스는 “공항 계획이 한국의 갯벌을 위협한다”는 제목의 서신을 2월호에 실었다. 서신은 박태진 미국 베이지역환경연구소(BAERI) 연구원, 최영래 플로리다국제대학교 조교수, 고예강 미국 오레곤대학 부교수, 김나희 새만금신공항백지화공동행동 홍보국장, 오동필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장, 나일 무어스 새와생명의터 대표 등 국내외 연구자·활동가들이 작성했다.

연구자·활동가들은 서신을 통해 “수라 갯벌은 세계에서 가장 대규모인 연안 매립 계획으로부터 살아남았지만 이제는 신공항 건설 계획이 이 생태적 피난처를 위협하고 있다”며 “2025년부터 2029년 시행될 공항 건설이 수라 갯벌의 생물다양성과 갯벌이 가진 사회문화적 영향력에 돌이킬 수 없는 손실을 줄 것”이라고 했다.

올 상반기 착공해 2029년 개항을 목표로 하는 새만금 신공항은 수라 갯벌을 부지로 한다. 수라 갯벌은 새만금에 남은 마지막 갯벌이자 대규모 철새 도래지다. 33만 마리의 도요물떼새를 비롯해 최소 59종의 국가 법정 보호종과 27종의 세계적 멸종위기종들이 이곳을 거처 삼는다.

서신을 보낸 이들은 새만금 신공항 사업이 2021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갯벌’의 가치를 보전하려는 한국 정부의 노력을 훼손할 것이라고 했다. 수라 갯벌은 유네스코에 등재된 구역으로부터 단 7㎞ 떨어져 있다.

서신에서 이들은 “논란을 멈추기 위해 철저하고 독립적인 타당성 평가와 환경영향평가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공항 계획을 멈춰야 한다”며 “유네스코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세계자연유산의 온전성에 공항 계획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해야 한다”고 했다.

서신을 함께 쓴 김나희 홍보국장은 지난해 말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언급하며 새만금 신공항 사업이 단순히 환경 문제가 아니라 항공 안전 문제로도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사무국장은 “국토교통부 전략환경영향평가서에도 새만금 신공항 부지의 조류충돌 위험도가 무안공항의 최대 636배에 달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며 “새만금 신공항에서는 19~84년마다 한 번꼴로 치명적인 조류충돌 사고가 일어날 것으로 예측된다. 이렇게 위험천만한 곳에 공항을 지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