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국악관현악단, '한강' 주제 공모작 '웨이브' 공연

2025-08-04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세종문화회관(사장 안호상)은 오는 29일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의 수상음악 프로젝트 '웨이브' 첫 무대를 선보인다.

'웨이브'는 조선 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그림 '월야선유도(月夜船遊圖)'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되었다. 달빛 아래 대동강에서 배를 타며 풍류를 즐기는 모습을 물과 사람, 음악과 공간이 어우러진 전통의 정서로 바라보고 이를 동시대 감각으로 재해석한 무대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은 이 같은 전통적 풍경을 오늘날의 감성으로 풀어내기 위해, '한강'을 주제로 한 신작 공모를 전국적으로 진행했다. 선정된 젊은 작곡가 5인의 신작이 1부에서 초연되며, 2부에서는 한국 고대의 가장 오래된 서정시 공무도하가(김성국 작곡)와 한강을 주제로 한 기존 창작곡 한가람의 숨(임희선)을 감상할 수 있다.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이승훤 단장은 "작곡가들도 음악가이기 이전에, 관객과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이다. 현재 관객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그 감각을 동시대의 언어로 바라보고 도전해야 국악관현악도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 공연은 계승에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국악의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중의적 의미를 지닌 수상음악 : 수상자들과 함께 만드는 무대

서울시국악관현악단이 선보이는 수상음악 프로젝트 '웨이브(WAVE)'는 단순한 신작 발표 무대에 그치지 않는다. '수상음악'이라는 명칭에는 중의적 의미가 담겨 있다. 국악관현악의 새로운 흐름을 시도한 작품들이 '상을 받을 만한 음악'이자, '물 위에서 즐기는 음악'이라는 상징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웨이브'는 이러한 물의 순환성을 모티브로 공모~초연~재연이라는 단계적 창작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올해 상반기, 전국 단위로 진행된 신작 공모에는 대학생은 물론, 경력을 갖춘 작곡가들까지 참여했다. 심사 기준은 창의성·음악성·주제 적합성·작품 완성도·대중성을 중심으로 진행됐으며, 김준표·최은아·조재완·박한규·박준석 5인을 최종 선정했다. 이들은 서울시국악관현악단 이승훤 단장과 상주작곡가 김현섭·이고운의 멘토링을 받으며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 작곡가들은 학부 재학생부터 창작 현장에서 경력을 쌓아온 전문가까지 다양한 배경과 창작 스펙트럼을 지니고 있다.

그중 '흐르샤'를 작곡한 박준석은 클래식 작곡으로 석사 과정까지 마친 후, 국악작곡으로 현재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에서 배움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각자의 삶과 예술적 여정을 반영한 시선으로 풀어낸 '한강'은 국악관현악이 담아낼 수 있는 폭넓은 표현 가능성과 미래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2부에서는 김성국의 '공무도하가', 임희선의 '한가람의 숨'이 연주된다. 두 작품 모두 자연과 인간의 관계, 물의 서사와 감정의 흐름을 주제로 하며, 앞서 초연되는 1부 신작들과 유기적인 연결을 이루며 공연 전체의 서사를 완성한다. 무대 연출은 월드뮤직 그룹 '공명'의 멤버 박승원이 맡는다. 감각적인 타악 기반 음악으로 주목 받아온 그는 이번 공연에서 음악과 공간의 호흡으로 공연의 완성도를 높인다.

jyy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