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장, 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Ⅰ '어쿠스틱' 공연

2025-08-04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국립극장(극장장 박인건)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예술감독 겸 단장 채치성)은 관현악시리즈Ⅰ '어쿠스틱'을 23일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한다.

이번 시즌 국립국악관현악단 첫 번째 공연인 '어쿠스틱'은 음향 확성 장비에서 벗어나 국악관현악의 또 다른 가능성을 실험하고자 기획된 공연이다. 단순히 서양 오케스트라 형식의 모방을 넘어, 국악기 고유의 울림과 구조를 고려해 악기와 연주자의 배치, 소리의 방향 등을 새롭게 구성했다.

국악관현악은 서양 오케스트라를 모방한 대규모 국악기 편성을 통해 창작의 지평을 넓혀왔으며, 동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우리 음악의 형식으로 자리 잡아왔다. 하지만 기존 공연장 환경은 국악기의 섬세한 소리를 온전히 담기 어려운 음향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마이크, 스피커 등 음향 확성 장비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해 음향 장비 사용이 국악기 고유의 음색과 여백의 울림, 섬세한 진동을 평면화시켜 본래의 감성을 희석한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어쿠스틱'은 "국악관현악의 소리는 어떤 공간에서, 어떤 방식으로 울려야 가장 '국악기답게' 들릴 수 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 출발했다. 단순히 서양 오케스트라 형식의 모방을 넘어, 국악기 고유의 울림과 구조를 고려해 악기와 연주자의 배치, 소리의 방향 등을 새롭게 구성했다. 국립국악관현악단은 올해 초부터 음향 전문가, 작곡가, 지휘자 등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를 마련, 의견을 수렴하고 수차례 무대 음향실험을 거쳤다. 국악기별 음압과 투사력, 객석과의 거리, 반사음의 흐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후, 국악관현악 특유의 깊이를 객석으로 전달할 방법을 모색한다.

공연은 1부와 2부로 구성, 동일한 두 연주곡을 서로 다른 악기 배치로 연주하고 반사판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같은 곡이 어떻게 울림이 달라지는지 비교해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한다. 이번 공연의 핵심은 관객의 참여다. 30분간의 인터미션 시간동안 관객들이 로비 곳곳에 비치된 QR코드를 스캔해 공연 리뷰 전용 웹페이지에 접속, 자신의 좌석에서 들은 음향에 대한 감상을 자유롭게 리뷰로 남길 수 있다. 작성한 리뷰는 좌석 위치별로 정리돼 로비에 설치된 LED 패널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된다.

이번 공연에서 연주되는 두 개의 작품은 최지혜 작곡의 메나리토리에 의한 국악관현악 '감정의 집'과 박명훈 작곡가의 위촉 신작 '시선(視線)'이다. '감정의 집'은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최근 10년동안 가장 많이 연주한 레퍼토리로 동시대적 감수성과 국악기 고유의 음색을 조화롭게 녹여낸 작품이다. 이번 공연을 위해 새롭게 쓰인 '시선(視線)'은 '시선'이 단순한 눈의 움직임이 아니라 인식과 감정, 반응이 뒤섞인 감각이라는 점에서 출발한 작품이다. 작곡가 박명훈은 복잡한 감각의 흐름을 소리로 표현하며, 국악기의 울림이 공간을 따라 이동하고 반사되고 굴절되는 과정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지휘는 최수열이 맡는다. 창작곡은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상주작곡가로 활동한 바 있는 박명훈이 위촉됐다.

jyyang@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