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최근 네팔 전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와 관련해 우리 국민이 주로 방문하는 일부 지역에 대해 10일 오후 5시부로 특별여행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가 내려진 지역은 수도 카트만두가 속한 바그마티주와 서부의 룸비니주, 관광지 포카라가 위치한 간다키주 등 3곳이다. 기존에 네팔 전역에 발효 중이던 1단계 여행경보(여행유의)는 유지되지만, 해당 지역에 대해서는 한 단계 강화된 2.5단계 특별여행주의보가 적용됐다.
특별여행주의보는 현지 치안 상황이 단기간에 급격히 악화됐을 때 발령되는 조치로, 사실상 3단계인 ‘여행자제’에 준하는 효력을 갖는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이 지역으로의 여행 계획을 취소하거나 연기할 것을 권고했다. 이미 현지에 체류 중인 국민들에게는 불요불급한 외출을 자제하고 가급적 안전 지역으로 이동해 달라고 당부했다.
네팔에서는 최근 정부가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엑스(X) 등 26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접속을 차단한 데 반발해 전국적인 시위가 확산됐다. 고위층 자녀들의 호화 생활과 극빈층 현실을 대비시킨 영상이 온라인에서 확산되면서 불만이 폭발했고, 특히 10~30대 청년층이 주도적으로 거리 시위에 나서고 있다.
시위대는 수도 카트만두의 대통령 관저와 국회의사당, 대법원 청사 등을 습격해 불태웠으며, 일부 교도소를 공격해 수백 명의 수감자가 탈옥하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사태가 폭동 수준으로 번지자 샤르마 올리 총리와 일부 장관들이 책임을 지고 사임했지만, 분노는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네팔 군 당국은 도심 곳곳에 병력을 배치했으며, 경찰의 강경 진압 과정에서 수십 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네팔 인구 3000만명 중 20% 이상이 빈곤층이며, 15∼24세 청년층 실업률은 22%를 넘는다. 이번 사태가 단순한 통신 차단 문제를 넘어 누적된 경제적 불만과 정치인 부패에 대한 반감이 폭발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외교부 관계자는 “치안 불안이 단기간에 해소되기 어려운 만큼 국민 여러분께서는 신변 안전에 각별히 유의해 달라”며 “비상 상황 발생 시 재외공관과 즉시 연락해 지원을 받길 바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