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매주 한 번꼴 ‘눈폭탄’
경비원·물류 운전기사 등
빙판길에 매일 긴장 연속
“다칠 일 없이 겨울 끝나길”
![](https://img.khan.co.kr/news/2025/02/13/l_2025021301000373700036691.webp)
전국에 대설특보가 발효된 12일 서울 신촌역 인근, 휘날리는 눈 사이로 A씨(87)는 손수레에 상자를 쌓았다. 오전 3시부터 나왔다는 그는 정오쯤 평소보다 이른 귀가를 준비 중이었다. “월요일에도 길이 미끄러워 넘어졌거든. 원래 손수레를 4번은 채우는데, 더 미끄러워지기 전에 들어가려고.” 그는 키보다 높게 쌓은 상자들을 가리키며 “이 정도면 1만원 정도 받겠다”고 말한 뒤 수레를 끌고 고물상으로 향했다.
매주 한 번꼴로 오는 눈폭탄에 도심 곳곳에서 긴장된 발걸음이 이어졌다. ‘빙판길과 도로 살얼음에 유의하라’는 안전 안내 문자가 일상이 됐고, 거리의 노동자들은 “다칠 일 없이 겨울이 무사히 지나가길” 바라며 하루하루 보내고 있었다.
경기 용인시의 아파트 경비원 권정철씨(78)는 12일 오전 9시쯤 염화칼슘 포대를 끌고 다니며 단지 내 도로에 뿌렸다. 그는 “오늘 오전 5시 반에도 뿌렸는데, 눈이 영 잦아들지 않아 또 뿌리는 것”이라고 했다. 서울 광화문역 인근 한 건물의 청소노동자 전모씨(55)는 입구 회전문을 몇 바퀴씩 돌며 걸레질을 했다. 그는 “평소보다 더 자주 걸레질을 했다”며 “눈 내리는 날에는 일 끝나고 몸이 여기저기 아프다”고 했다.
물류회사 운전기사들은 “영하로 떨어지지 않아 그나마 다행”이라고 했다. 경기 고양시에 사는 화물 운전기사 이주석씨(63)는 “큰 도로는 제설이 금방 되지만 새벽 골목길이 무섭다”며 “항상 어는 다리 위는 늘 조심한다”고 했다. 경기 광주시를 오가며 유제품을 운송하는 화물기사 B씨(57)는 “(눈이) 싫은 것을 넘어 두렵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첫눈 폭설’ 때 아예 배송을 못한 기억을 떠올리며 “눈 오는 게 지긋지긋하다”고 말했다.
배달노동자들에게 눈 오는 날은 위기이자 기회이다. 길이 위험한 만큼 일감이 많아진다. 광화문에서 배달을 마친 한 라이더는 “눈이 오면 더 바쁘니 시간이 없다”며 바로 오토바이에 올라탔다. 25년 차 퀵서비스 기사인 김용석씨(52)는 “수요도, 단가도 높은 날이라 무서움보단 욕심이 앞서기 쉬운 날”이라고 했다. 오전까지 10여건의 배달을 마쳤는데, 평소보다 3~4건은 더한 것이라고 했다. 오토바이 가속을 하려는 손을 막는 것은 집에 있는 가족들이다. 그의 오토바이에는 ‘교통신호 준수한 사람’이라고 쓰인 스티커가 붙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