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인 현대차 부사장 "13만 임직원 '원팀' 만든 현대차 DNA는 빨리빨리·집요함"

2025-04-27

김혜인 현대차 HR 본부장 부사장 인터뷰

글로벌 임직원 꼽은 현대차 DNA '민첩함·끈기'

글로벌 기업 도약 위해 다양성·포용성 기반 조직 문화 변화

[뉴욕=뉴스핌] 조수빈 기자 = 현대자동차가 전 세계 13만 명의 임직원을 하나의 방향으로 이끄는 비결은 무엇일까. 김혜인 현대차 인사(HR) 본부장 부사장은 '민첩함(Agility)'과 '끈기(Tenacity)'를 그 중심으로 꼽는다. 이른바 현대차 특유의 '빨리빨리, 미리미리' 정신이 글로벌 조직의 문화로 자리잡았다는 설명이다.

김 부사장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제이콥 재비츠 센터에서 열린 '2025 뉴욕 국제 오토쇼(이하 뉴욕 오토쇼)'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김 부사장은 지난해 1월 현대차 HR본부장 부사장으로 영입됐다. BAT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인사총괄, 최고인사책임자(CHRO) 등을 역임한 인사 전문가로, 영국, 일본, 인도네시아, 홍콩 등에서 글로벌 HR 실무를 두루 경험했다.

◆조직문화에도 현대웨이…빨리빨리·미리미리 집요하게

그가 합류한 후 현대차 조직문화에도 변화가 생겼다. 지난해 현대차는 중장기 미래 전략 '현대웨이(hyundai way)'를 발표한 바 있다. 함께 나아가기 위한 조직의 공통 언어로도 자리잡은 현대웨이의 핵심은 '민첩함(Agility)'과 '끈기(Tenacity)'다. 현대차그룹 특유의 '빨리빨리', '미리미리' 문화와도 일맥상통하는 이 키워드는 현대차의 고유한 실행력과 문제 해결력을 상징하는 가치이자, 글로벌 조직의 연결고리로 기능하고 있다.

김 부사장은 "빠르게 움직이고, 앞서 준비하는 문화는 현대차의 전통이자 강점"이라며 "이러한 특성을 살리기 위해 사전 예측 기반의 비즈니스 운영, 다양한 시나리오 준비, 조직 간의 얼라인먼트(협업 체계 강화)를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가 글로벌 조직으로 체질을 바꾸고 있는 또 하나의 신호는 경영진의 변화다. 올해 초 호세 무뇨스 현대차 최고경영자(CEO)가 선임되며 사내 소통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다.

무뇨스 CEO는 타운홀 미팅을 통해 임직원과 직접 소통하며 '글로벌 원팀'을 강조하고 있다. 김 부사장은 "초기에는 영어 사용에 부담을 느끼는 직원도 있었지만, CEO가 '중요한 것은 유창한 영어가 아니라 데이터와 성과'라고 명확히 말해줘 직원들도 안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진정한 글로벌 기업 과제는 '다양성·포용성' 확장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과제도 남아있다. 많은 권역과 문화가 혼재되는 만큼 분명 서로에 대한 차이점에 부딪힐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군대 문화, 남성적 조직이라는 이미지가 강하다는 오해에서도 벗어날 필요성을 느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김 부사장은 "현대차는 이미 매출, 판매량, 수익 대부분을 해외에서 창출하고 있고, 규모나 체제 면에서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인만큼 인사제도의 글로벌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직문화 개편에서 가장 중점을 둔 영역은 '다양성과 포용성'이다. 김 부사장은 "전 세계 임직원 피드백에서 가장 많이 나온 요구가 '다양성에 대한 명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가 말하는 다양성은 성별이나 국적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자의 생각과 의견이 존중받을 수 있는 문화, 표현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연차와 고연차의 문화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 문화를 개선하는 '변화 혁신 담당' 팀을 꾸리기도 했다. 김 부사장은 "소통을 통해 벽을 허물고 소속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 중"이라며 "일례로 타운홀 미팅도 CEO나 본부장이나 부사장뿐 아니라 더 아래 직급이 참여하는 방안이나 각 국가의 법인 HR팀과 소통한다든지 여러 시도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재 확보 측면에서도 '일하고 싶은 기업으로서의 현대차' 브랜딩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김 부사장은 "프랑스에 있는 인재가 프랑스에만 머무르지 않고, 조직 전반에 걸쳐 경험을 넓히도록 유도하고 있다"며 "동시에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SDV), 로보틱스, 소프트웨어 등 기존에 없던 역량이 필요한 분야에도 전략적인 채용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앞으로도 다양한 배경의 인재를 적극 채용하고, 상시 채용 중심의 체제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김 부사장은 "전문 인재들과 장기적인 관계를 쌓는 '글로벌 인재 인텔리전스'를 강화하고 있다"며 "단기 채용보다 관계 중심의 인재 확보 전략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eans@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