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프리즘* 맞춤형 경제 브리핑
* 편집자 주: ‘AI PRISM’(Personalized Report & Insight Summarizing Media)은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뉴스 추천 및 요약 서비스’입니다. 독자 유형별 맞춤 뉴스 6개를 선별해 제공합니다.
[주요 이슈 브리핑]
■ 자사주 담보 EB 발행 증가와 투자 리스크 관리: 자사주 소각 의무화 법안 통과를 앞두고 일부 기업들이 자사주를 담보로 한 교환사채(EB) 발행을 서두르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공시 기준을 강화했지만 테크윙(933억 원), 테스(157억 원), 바이넥스(155억 원) 등이 잇달아 EB를 발행했으며, 투자자들은 발행 사유와 조건을 면밀히 검토해 편법 자금 조달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
■ P2P 대출 급증과 풍선효과 경계 필요: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P2P) 대출 잔액이 1조 4338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6% 증가했다. 정부의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권 대출이 어려워진 실수요자들이 LTV·DSR 규제를 받지 않는 P2P로 몰리고 있으며, P2P 채권 투자자들은 차주의 신용도 악화 가능성을 고려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
■ 미중 반도체 협상과 관련주 투자 기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엔비디아 간 거래를 허용하되 최첨단 칩 수출은 불허하겠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칩 B30A 승인 여부와 SK하이닉스의 HBM 공급 확대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반도체 관련 펀드와 ETF 투자자들은 미중 협상 진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한다.
[금융상품 투자자 관심 뉴스]
1. 금감원 제동에… 자사주 활용 ‘눈치보기’ 확산
- 핵심 요약: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골자로 한 3차 상법 개정안 통과가 유력한 가운데 반기업들이 자사주 활용 전략을 놓고 치열한 ‘눈치 싸움’을 벌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20일 자사주를 담보로 한 교환사채(EB) 발행 공시 기준을 강화하자 일부 기업은 발행 계획을 취소했지만 일부는 상법 개정안 통과 전 EB 발행을 서두르는 모습이다. 반도체 전공정 장비업체 테스가 157억 원,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기업(CDMO) 바이넥스는 155억 원 규모의 EB 발행을 결정했다.
2. P2P대출 6% 늘어 역대 최대…대출규제 강화에 실수요 몰려
- 핵심 요약: 온라인투자연계금융업(P2P) 대출 잔액이 역대 최대치로 증가했다. 정부의 연이은 가계대출 규제로 은행권 대출 문턱이 높아지자 LTV·DSR 규제를 받지 않는 P2P로 실수요자들이 몰린 것이다. 저축은행 연계 온투 5개 업체의 신용대출 잔액은 6월 337억 원에서 10월 697억 원으로 2배 이상 증가했고, 부동산담보대출 잔액도 7월 5999억 원에서 10월 6142억 원으로 늘었다.
3. 우리銀, 연수원 매각완료…자본확충 잰걸음
- 핵심 요약: 우리은행이 안정적인 자본 관리를 위해 안성연수원을 조기 매각했다. 당초 2026년까지 매각할 계획이었지만 일정을 앞당겼으며 매각가는 수백억 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는 그룹 차원의 자본비율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현재 우리금융의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올 3분기 기준 12.92%다. 4대 금융지주 가운데 가장 낮은 상황이다. 아울러 우리은행은 부동산 자산 재평가를 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상품 투자자 참고 뉴스]
관련기사
- 정보가 독자를 찾아갑니다 …서울경제, 맞춤형 뉴스 ‘AI 프리즘‘ 서비스
 - AI가 찾아준 ‘나를 위한 뉴스’… 독자 맞춤형 뉴스 시대 도래
 - 서울경제, AI로 독자 맞춤형 뉴스 시대 연다… ‘AI PRISM’ 시동
 - "가계 소비·투자 억누른다" 월급쟁이만 쥐어짜는 ‘인플레 증세’…“산업발전법 전면 개정, 한국판 IRA도 우선 추진” [AI 프리즘*신입 직장인 뉴스]
 
4. 산업장관 “2000억弗 대미 투자, 韓 기업에 우선권”
- 핵심 요약: 김정관 산업부 장관이 한미 합의 2000억 달러 대미 투자 프로그램에서 미국 진출 한국 기업에 우선권이 부여된다고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위원장인 투자위원회와 김 장관이 위원장인 협력위원회가 2000억 달러 사용에 대해 동의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특히 김 장관은 “2000억 달러 집행의 기준은 상업적 합리성, 즉 캐시 플로우(cash flow·현금 흐름)가 창출 가능한 사업”이라고 덧붙였다.
5. 트럼프 “中·엔비디아 거래 허용…최첨단 칩 수출은 불허”
- 핵심 요약: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 엔비디아 거래는 허용하되 최첨단 반도체 수출은 불허하겠다며 2년 내 미국이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 40~50%를 차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중국 전용 칩 'B30A' 개발로 중국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며 미국 정부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막 나온 엔비디아 새 블랙웰을 다른 사람들에게 주지 않을 것"이라 말해 한국의 블랙웰 26만 장 도입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6. 최태원 “폭발적 수요로 AI칩 품귀…‘AI 팩토리’로 솔루션 찾을 것”
- 핵심 요약: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SK AI 서밋'에서 오픈AI 700조 원·메타 850조 원 등 폭발적 AI 인프라 투자와 에이전틱 AI 확산으로 AI 수요 예측 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또 그는 AI 인프라를 위한 메모리 반도체와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얼마나 더 필요할지 예측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실제 폭발적인 AI 수요 증가로 메모리반도체 공급 부족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AI 가속기에 필수인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메모리(HBM) 등은 만들기도 전에 모든 물량의 계약이 끝나고 있다고 한다.


▶기사 바로가기: P2P대출 6% 늘어 역대 최대…대출규제 강화에 실수요 몰려

▶기사 바로가기: 與 “정년 65세 입법안 연내 추진”…경영계 “청년 일자리 위축” 우려

▶기사 바로가기: 최태원 “폭발적 수요로 AI칩 품귀…‘AI 팩토리’로 솔루션 찾을 것”




![넥스트레이드, 거래량 규제에 또 ‘브레이크’…카카오·에코프로 거래중지[마켓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3VADI_4.jpg)

![당국, 5조 규모 ‘조선·녹색산업’ 스케일업 펀드 추진 [AI 프리즘*스타트업 창업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6UZC04_1.jpg)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71〉 [AC협회장 주간록81] 투자자에게 실질적 보상을, 창업생태계 세제는 과감해야 한다](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5/21/news-p.v1.20250521.2414ba41a8f243ad8888ea18ad357d11_P3.jpg)

![몸푸는 행동주의 펀드…"일본 이어 한국도 더 활발해질 것"[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7QDJ2D_2.jpg)